코드 맞추기
코드 맞추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요즈음 신문이나 방송매체 등을 통해 접하는 용어 중에서 ‘코드’란 말을 자주 접하게 된다.

청와대 주변에서 나온 이 말은 정치용어의 단계를 벗어나 사회 각 분야에 인용되는 등 급속히 파급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미국을 방문 중인 노무현 대통령의 미국에 대한 유화적인 발언들이 잇따르고 있는데 이를 두고 ‘미국에 코드 맞추기’란 표현이 나오고 있다.

연일 신문.방송의 톱기사로 장식되고 있는 ‘화물연대 파업 사태’ 처리를 놓고는 이른바 ‘노무현 코드’를 잘못 이해했다는 질책들이 나온다.

노 대통령이 ‘친(親)노조코드’라고 이해해 버린 경찰 등이 사태에 미온적으로 대처하다 뒤늦게 엄정대처 지시를 받고 허둥대는 바람에 사태를 더 악화시키고 있다는 게다.

얼마전 참여정부 첫 청와대 대변인인 송경희씨가 경질된 것을 놓고는 노 대통령과 코드가 맞지 않아서 그런 거 아니냐라는 얘기가 나왔다.

어쨌거나 이 코드란 말이 이제는 경제나 문화,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심심치 않게 적용되고 있다.

‘올 여름 패션유행인 낭만성을 즐기기 위해 나만의 코드로 독특한 낭만을 즐겨보자’, ‘우리 경제도 이제는 부를 지향하는 코드를 가져야 한다’ 등등.

그렇다면 이 ‘코드’란 게 과연 무슨 뜻인가.
주변에 물어보면 의외로 명쾌하게 답변하는 사람들이 없다.
색깔, 철학, 신념, 가치관, 노선 등등 뜻풀이도 각양각색이다.

이처럼 저마다 말뜻을 어렴풋하고 애매모호하게 이해하고 있는 것은 ‘코드’란 단어의 사전적 풀이로는 지금 사용되고 있는 코드의 뜻을 제대로 전달할 수 없기에서다.

우리가 흔히 이해하고 있는 전선코드의 영어 철자는 ‘cord’다.
또다른 코드의 영어표현으로 ‘code’가 있는데 법전, 규준, 관례, 예의범절, 암호, 신호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

어느 쪽 영어 단어이건간에 요즘 유행되는 ‘코드’의 의미와 일치되지 않는다.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엊그제 “취임후 일련의 결정들은 노 대통령의 국정철학과 배치되지 않는다”며 “노 대통령의 코드는 실용주의와 상대주의, 세력간 균형”이라고 말했다.

이를 보면 여기서 ‘코드’란 대통령의 국정철학으로 이해될 수 있을 듯싶다.

애매하고 비유적인 표현보다는 세대간 계층간 구분없이 국민들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 선택이 오히려 국정을 알리는 데 효과적이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