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3’을 다시 돌아본다
‘4 ·3’을 다시 돌아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4 ·3’이 오늘로 61주년을 맞는다.

해방공간의 이념 갈등 속에 도민 수만 명이 희생된 이 비극이 아직도 그 원인과 희생자의 규모, 성격에 대해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것은 참으로 유감이다.

물론 2000년 제주4 ·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공포되면서 ‘4 ·3’이 공식적으로 제자리를 찾기 시작한 것은 사실이다.

2003년에는 정부가 조사하고 채택한 ‘제주 4 ·3사건 진상보고서’를 토대로 대통령이 제주도민과 ‘4 ·3’으로 희생된 유족들에게 공식 사과하는 등 화해와 상생의 기틀을 마련하기도 했다.

‘4 ·3’이 여기까지 오는 동안 가려졌던 진실을 되찾는 작업은 지역사회의 양심적인 인사들의 헌신에 힘입은 바 컸다. 이들의 노력이 없었다면 ‘4 ·3’은 아직도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만 전해지는 희미한 에피소드로 머물렀을지도 모른다.

진실이 역사 속에서 항상 밝혀지는 것은 아니다.

그 진상을 규명해 밝히려는 사람들의 노력과 의지가 있을 때만 진실은 모습을 드러낸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오늘 그동안 ‘4 ·3’의 역사적 재현에 이바지한 분들의 헌신에 찬사를 보낸다.

앞으로 더 많은 노력으로 최근 빚어지는 논란을 극복하고 ‘4 ·3’의 실체적 규명에 힘써줄 것을 당부한다.

‘4 ·3특별법’은 ‘4 ·3’을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해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4 ·3’은 그 정의가 여전히 의문 속에 있고 규명해야 할 과제가 많다.

도민 수만 명이 죽음을 당하는 과정에서 표출된 우리사회의 그 집단적 광기(狂氣)는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지. 진압작전에서 우리 군경과 미국은 서로 어떤 역할을 맡았는지. 좌익의 조직적인 무장봉기는 어떠했는지.

앞으로 이러한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4 ·3’을 맞아 위령제나 지내고 이런저런 행사를 갖는 것으로 오늘은 보낸다면, 그것은 진실의 또 다른 은폐에 지나지 않는다.#[사설]불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