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권위
진정한 권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권위’처럼 부정과 긍정의 의미를 동시에 지닌 말도 드물다. ‘남을 복종시키는 권세와 위력’의 뜻을 지니고 있는가 하면, 전문분야의 실력자에게도 ‘권위’가 붙여진다. 전자는 제왕의 권위를 생각할 수 있고, 후자는 뛰어난 과학자와 지식인 등이 해당된다.

그러나 ‘권위’에 ‘주의’가 붙으면 완전히 부정적인 말이 된다. 권위주의는 남을 억누르는 행위를 말한다. ‘권위’ 하면 무조건 부당한 것으로 간주돼온 것도 이 때문이다.

사실 한국의 더딘 민주주의 발전 역시 부정적 의미의 권위가 지배한 데 기인한다. 먼저 ‘제왕적 대통령’의 권위부터 생각할 수 있다. 노태우 전 대통령이 ‘권위주의 청산’을 내걸고 대통령에 당선됐을 때만 해도 금방 권위주의가 사라지는가 싶었다.

이후 역대 대통령의 권위주의가 많이 자취를 감추긴 했지만 전반적으로 정치권의 권위의식은 여전하다. 존경받는 전문가로서의 권위가 아닌 권세와 위력을 가진 정치인으로서의 권위를 쉽게 버리지 못하고 있다.

지금 국민이 바라는 것은 권세의 권위가 아니라 뛰어난 ‘정치 전문가’로서의 권위이다. 대통령과 장관들도 여기에 해당한다. 전문분야 지식인의 권위처럼 정치권과 장관들의 권위도 국민의 존경과 사랑을 받는 세상이 돼야 한다.

결국 권위는 남용돼서도 안되지만, 실종돼서도 안되는 것이다. 새 정부 출범 후 특히 노동계와 교육계 등의 높아지는 목소리에 불안을 느끼고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문제는 예전과 같은 대통령의 권위주의나 관리의 권위의식이 그 원인이 아닌 것 같다는 데 있다. 오히려 국민의 편에서 이익을 추구하고 안심시킬 국정 전문가들로서의 리더십 차원의 정당한 권위를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권위주의는 나쁘지만 참된 권위는 필요악이다. 국민의 이익과 안위를 책임진 전문가로서 정부의 권위가 추락하면 국민들의 자유도 영향을 받게 된다. 국민을 고통스럽게 하고 불편을 주지 않는 범위의 정부 권위는 반드시 필요하다.

국민이 정부를 따르게 하는 권위를 전제로, “국민이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부터 생각해야 한다”고 했던 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의 리더십과 “피와 눈물과 땀으로 나라를 지키자”고 호소한 처칠 전 영국 수상과 같은 국정 운영방식도 생각해 볼 만하다. 시대는 달라도 진정한 정부의 권위가 국민의 자유를 보장한다는 사실은 달라질 수 없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