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민 구호와 마을 재건
이재민 구호와 마을 재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주민 해안 강제이주…생활 막막
4·3 이재민 8만~9만 명 추산
전쟁 후 중산간마을 재건 시작


4.3사건으로 인해 발생한 가장 시급한 문제는 이재민에 대한 구호 문제였다.

이재민은 무장대의 방화로 인한 것도 있으나 대부분은 군경토벌대가 무장대와 주민을 분리시킨다는 이유로 중산간 지대의 주민들을 해안으로 강제 이주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1948년 11월 시작된 중산간마을에 대한 소개는 이재민에 대한 아무런 대책 없이 이뤄짐으로써 군경의 방화로 삶의 터전을 잃은 주민들 중 일부가 산으로 올라갔고 많은 수가 해안으로 옮겨졌지만 생활은 막막했기 때문이다.

4.3으로 인한 이재민은 8만명에서 9만명으로 추산됐는데, 이는 전도민의 3분의 1에 해당되는 수였다.

이 같은 제주도의 이재민에 대해 국회에서 논의가 있었으나 1949년 3월 국무총리와 내무장관의 제주방문 이후에서야 약간의 구호 물자와 예산 지원이 있었을 뿐이었다.

당시 제주도 이재민의 참상을 살펴본 주기용 국회의원은 1949년 3월 1일부터 자유신문에 ‘제주답사기’를 실어 여론을 환기시켰다.

주 의원의 답사기에는 ‘8만6797명에 달하는 이재민은 식량.의류를 운반할 틈도 없이 피란한 관계로 문자 그대로 돼지우리처럼 만든 집 속에 건초를 깔고 그냥 기거하며 해초.산초로 그날 그날을 연명하는 형편…(중략)…이 가련한 꼴을 눈물 없이 볼 수 없었다…제주의 애국동포를 구제하는 데 최대의 성의를 표시하기를 눈물로써 호소하는 바이다’라고 기록돼 있다.

한국전쟁 발발 이후 제주도에는 피란민이 쇄도해 이재민에다가 전쟁 피란민까지 겹치면서 생활상이 말이 아니었다.

전쟁 피란민은 15만여 명에 이르렀고 이들에 대한 구호업무가 긴급한 현안으로 대두됐으나 구호 실적은 미미했다.

1953년 1월 30일에 제주도구호위원회의 제16차 위원회에서 할당된 구호품은 겨우 쌀 2814석, 광목 1만4500마, 모포 2275장, 우유 28상자, 비누 38상자였다.
이는 이재민들의 구호 수용에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이었다.

이와 함께 중산간마을의 재건은 1949년 봄 해안지대에서 가까운 곳으로부터 경찰의 허가를 받아 자력 복구가 이뤄지기 시작했다.

4.3으로 인한 피해 마을은 160곳이고 피해 호수는 1만5228호, 3만5921동으로 중산간마을이 대부분 피해를 봤다.

그럼에도 마을 복구에 관한 정부의 공식 대책이 없자 부분적으로 마을 복구가 이뤄지기 시작했다.

1949년 2월 말 제2연대가 부대장의 결단으로 중문지역의 마을을 재건하고 불타버린 학교를 지었으며 함병선 2연대장은 7월께 봉개리를 재건해 입주시키면서 마을명을 함명리로 개칭하기도 했다.

이러다가 1950년 정부는 완파가옥은 1만5000원, 반파는 1만원, 가족이 철수한 가구는 5000원을 각각 지급한다는 기준을 세워 전국적으로 3억원을 주택보조비로 지급했으나 제주도에는 2700만원만 배정해 역부족이었다.

이 때문에 당시 김충희 제주도지사는 1950년 2월 이재민을 구호하기 위해서는 약 89억원이 필요하다며 융자를 정부에 요청했으나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무산되고 말았다.

전쟁 중에는 마을 복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다가 1952년 10월 정부는 4.3사건 피해실태를 조사하기 시작, 1954년 4월 1일에서야 한라산이 부분적으로 개방되고 산간마을 입주 복구가 허용됨으로써 복구사업이 활발히 펼쳐졌다.

한라산 금족령 해제가 이뤄진 1954년 9월 21일 이후 제주도 당국은 국유림 벌채로 이재민 구호에 필요한 주택자재를 공급하려 했다.

또 한라산 개방에 따른 원주지 마을 복구 허용 및 정부의 지원과 마을 주민의 자체적인 노력에 의해 중산간마을 재건사업은 점진적으로 실현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