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웠던 소년병들
아름다웠던 소년병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소년병은 17세 이하의 어린 나이로 6·25전쟁에 정규의 군(軍)으로 입대하여 참전한 사람들입니다. 17세 이하의 나이는 아동복지법에 의하여 국가의 보호를 받는 아동(兒童)입니다.

소년병에 대하여는 전사에도 기록되지 않았고, 아는 사람도 없습니다. 학생의 신분으로 참전하였기에 학도병이고, 그 중에서 17세 이하의 어린이기에 소년병입니다.”

6·25 참전소년병들의 “어린 나이에 총을 들고 싸웠던” 생생한 수기, <우리들의 아름다운 날을 위하여>의 서문이다.

▲한 소년병은 첫 전투에 투입됐을 때의 상황을 이렇게 썼다.

“북괴군의 포탄이 우리 진지에 쏟아지기 시작했다. 옆에서 살점이 하늘을 나르고 피가 땅으로 튀었다. 사방에서 “아이고!”, “어머니”하는 단말마같은 비명이 천지를 진동했다. 16세의 어린 나는 어쩔 줄 모르고 헤매다가 호속으로 나뒹굴어졌다.”

이제 70대 후반에 이른 생존 소년병들의 수기를 보며, 우리가 지금 이만한 나라에서 이렇게 사는 것이 누구의 피와 희생위에 서 있는 것인가를 생각한다.

6·25전쟁이 발발하자 제주의 젊은이들이 해병대에 입대해 인천상륙의 선봉이 되고 서울을 탈환한 일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그들 중 상당수가 17세 미만의 소년병들이었다는 사실은 묻혀 있다.

2007년 제주일보 보훈대상 상이군경부문 수상자인 부창옥씨(해병 4기, 17세 입대)와 2009년 수상자인 김동준씨(해병 4기,17세 입대) 등의 이야기를 통해 제주 소년병의 실태가 일부 밝혀지고 있다.

▲제주에 온 군 모병관들은 18세 이상이라는 규정은 아예 무시하고 무조건 ‘지레(키)’ 순으로 뽑았다. 그래서 최소한 M1 소총을 들 수 있는 아이들이 징집돼 일주일 교육에 다섯 발 사격훈련을 하고 인천에 상륙했다.

중학교, 교원양성소 등에 다니던 어린 학생들이 상당수였다. 많은 이들이 전사했다.

살아남은 소년병들은 전쟁이 끝났어도 평균 2년을 더 복무한 후 고향에 돌아왔다.

그러나 면학의 황금기를 잃어버린 소년병들은 평생 동안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겪어야 했다. 그 아름다웠던 미소년들이 이제는 백발이다.

6월을 보내며 6·25소년병들의 눈물을 생각한다.

우리는 이들에게 어떤 예우를 하고 있나.

<부영주 논설위원실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