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高 교육정책 달라져야
실업高 교육정책 달라져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도내 지방 실업계고교의 입학정원 미달 및 전학 등으로 인한 재학생 이탈현상은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물론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대부분 실업고 학력만으로도 취업이 가능했던 과거 교육정책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 데서 비롯된 현상이다.

올 들어 정원미달률이 41%를 넘는 실업고가 있는가 하면 20~30%나 되는 실업고도 4개교나 되고 있다. 일반계 고교 역시 중도 이탈률이 3.06%(361명)로 이탈자가 없는 것은 아니나 실업고의 경우 무려 12.7%인 998명이 중도 이탈한 것으로 밝혀졌다.

물론 그동안 관광.산업과학.정보학과를 개설하고 학교명을 바꾸는 등 실업고의 변화를 모색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하지만 입학정원 미달에다 재학생마저 다수 빠져 나가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는 데도 교육 당국은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그러잖아도 해마다 고교입학 자원난이 되풀이되면서 일반고 정원 확보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지방 인문고 역시 정원 부족률이 10~20%에 이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방 실업고의 정원 확보를 기대한다는 것 자체가 잘못이다.

제주도교육청은 심각한 지방 실업고 학생 이탈 현상을 언제까지 지켜보고만 있을 것인지 답답하다. 인문고와 실업고의 비율을 일정 선에서 유지토록 한 교육인적자원부의 방침이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을 테지만, 지방분권이 추진되는 마당에 비현실적인 지방교육 방침만 계속 묶어둬선 안될 일이다.

가장 바람직한 대안이라면 지방 실업고의 학생정원 감축과 함께 일부 실업고를 인문고로 전환하는 것이다. 인문계 출신이든 실업계 졸업자든 대학 입학이 보편화된 시대에 과거 실업고의 비중을 기대한다는 것은 무리다. 시대적 상황에 맞는 교육이라면 인문고든 실업고든 입학의 선택권은 전적으로 학생들에게 맞겨져야 한다.

그렇다고 모든 실업고를 인문고로 바꾸라는 것은 아니다. 정원 확보에 어려움이 없는 선에서 재조정하되 시설을 초현대식으로 개선하면 실업고 지망생은 오히려 늘어날 수도 있다. 특히 실업고 졸업생의 경우 대학도 동일학과 또는 유사학과에 입학할 경우 더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제주도교육청은 실업고 정책도 내실화를 기하고, 본의 아니게 실업고에 입학해 도중 이탈하는 학생이 없도록 하는 현실적인 새로운 실업고 정책을 모색해 주기 바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