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용 되지 않은 ‘새 주소’
활용 되지 않은 ‘새 주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도내 시.군 중 남.북제주군을 제외한 제주시.서귀포시에는 이미 ‘새 주소’가 부여됐다.
새 주소는 이.동-통-반-지번(里.洞-統-班-地番)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주소와는 다르다. 각 도로별 건물 배치 및 순서에 따라 호수(號數), 즉 고유 번호를 부여한 새로운 개념의 주소인 것이다.

제주시와 서귀포시는 이러한 새 주소 부여를 위해 1999년 1월부터 2001년 2월까지 국비 및 지방비 총 20억5800만원이나 투입했었다. 적잖은 시일과 예산을 써 가면서 공들인 사업인 셈이다.

도로명이 없는 길은 골목길까지도 새로 이름을 붙였으며, 주택.사무실을 포함한 모든 건물을 실사, 고유 번호를 부여했다. 또한 여기에 필요한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도로 이름판과 건물 번호판도 총 4만7338개나 제작, 부착했다.

이토록 많은 시일과 인력.예산을 들여 완성한 새 주소는 모두가 적극적으로 활용만 잘 한다면 간편.명료하면서도 효율적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기존의 주소와 병행해서 쓰더라도 별다른 번잡성이 없어 각종 배달 업무에는 정확성을 기할 수 있는 측면도 있다. 다시 말해 새 주소는 독립적으로도 효과적이고 편리한 데다 기존 주소와 병용하더라도 장점이 많다.

그럼에도 새 주소가 활용되지 않고 있는 것은 당국.시민 모두의 탓이다. 구태여 잘못의 경중(輕重)을 따진다면 물론 당국의 책임이 더 크다.
막대한 예산과 시간.인력을 투입해 마련한 바람직한 제도라면 일만 벌여 놓을 것이 아니라 행정조직, 각종 기관.단체 등에 협조를 요청, 적극 활용해 주도록 노력했어야 했다. 그리고 시민을 대상으로 새 주소의 장점을 충분히 홍보함으로써 자발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했어야 옳았다.

특히 새 주소 부여에 따른 기존 서류들의 정비가 제대로 되었는지도 의문이다. 그렇지 못했을 때는 기관.단체에 따라 새 주소 이용으로 법률적 분쟁이 생길까 저어하여 기피할 수도 있을지 모른다.

새 주소가 부여된 지 2년이 지나도록 유명무실한 제도가 돼 버린 것은 문제다. 행정 당국은 거기에 들인 예산.인력.시간을 헛되게 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모든 시민.기관.단체가 일상적으로 쓰도록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기 바란다. 성공할 수 있는 바람직한 제도임에도 방치나 무관심으로 실패해서야 말이 되겠는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