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4.3사건진상보고서
정부의 4.3사건진상보고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조국 광복 이후 6.25한국전쟁에 버금 가는 불행한 사건이라고 일컬어지는 제주4.3사건에 대한 정부 차원의 최종 진상보고서가 확정되었다.
사건 발생 반세기가 훨씬 넘도록 정부 차원의 공식적인 진상 규명이 없어 그동안 제주도내에서는 동일 사건을 놓고 공산폭동-민중항쟁 등 상반된 시각들이 첨예하게 대립돼 왔던 게 사실이다.

그런데 이번에 확정된 정부의 최종 진상보고서에서는 4.3사건을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제주4.3사건은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하여, 경찰.서청(西靑)의 탄압에 대한 저항과 단선.단정(單選.單政) 반대를 기치로 1948년 4월 3일 남로당(南勞黨) 제주도당 무장대가 무장봉기한 이래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무력 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제주도내 각계 인사들 중에는 최종 진상보고서에 대해 의견 차이를 보이고 있어 향후 논란의 소지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제주도내 4.3단체를 비롯, 일부 예술인 단체는 대체적으로 환영의 뜻을 표명하면서도 미흡한 점이 있음을 아쉬워 하고 있다.

이와는 달리 재향경우회 쪽에서는 통일.화합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성은 분명하지만 무장폭동사건이라는 것은 덮어둔 채 토벌대 진압 과정만 집중 부각한 것은 역사 왜곡이라는 의견을 내고 있다.

이런 점들을 예견했음인지 정부 당국은 비록 진상보고서가 확정되었다 하더라도 앞으로 보완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두고 있다. 진상보고서 서문(序文)에 ‘사건의 성격이나 역사적 평가는 차후 새로운 사료나 증거가 나타나면 보완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기로 한 것이 그 것이다.

이제 정부의 4.3사건 진상보고서가 확정됨으로써 진압 과정에서 억울하게 숨져간 양민들의 명예를 회복하게 된 것은 다행한 일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현대사의 비극이자 제주의 비극인 4.3사건은 진상보고서 확정을 계기로 후세의 사학자들에 의해서 더욱 진실이 규명되고 평가돼야 할 학문적 과제로 남게 되었다.

그리고 미흡한 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공식 진상보고서가 4.3사건의 정의를 내린 이상 제주도민 간에도 서로 의견을 접근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