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천단(山川壇)에 가시오
산천단(山川壇)에 가시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비의 계절이다.
올 여름엔 태풍이 많아서 앞으로도 2~3개가 더 올 것이라니 비도 많이 내릴 것이다.
‘비’를 뜻하는 한자어는 ‘우(雨)’이다.
그러나 비라고 다 같은 비일 수는 없다.
우리말에도 ‘보슬비’니 ‘소슬비’이니 하는 말이 있지만 우리 옛 선인들도 여러 가지 다른 표현을 했다.
우선 비인지 비가 아닌지 분간을 잘 못하는 안개비의 경우는 雨자에 ‘아닐 비(非)’를 밑에 붙여서 ‘비(雨+非)’라고 썼다.
게으름 피우기 좋을 만하고 소주 생각이 나면서 여자(妾) 생각도 절로 나게 하는 비를 ‘삽(雨+妾)’이라 했다.
이보다 더 세게 내려서 비를 맞으면 머리가 젖을 만한 비는 ‘머리감을 목(沐)’자를 밑에 붙여서 ‘목(雨+沐)’이라 했다.
이뿐인가. 마치 숲(林)속에 나무들처럼 주룩주룩 내리는 장대비를 ‘임(雨+林)’이라 하고 이보다도 더 왕창 크게 내리는 폭우로 사람 사는 곳곳에 늪(沛)이 생겨나는 억수 같은 비를 ‘패(雨+沛)’라 했다.
그래서 흔히 큰 비가 오는 모습을 패연하다고 표현하는 것이다.
조선시대의 측우기록인 ‘풍운기(風雲記)’에 보면 비를 강약에 따라 8가지로 나누고 있다.
미우.세우.소우.하우.쇄우.취우.대우.폭우로 달리 쓰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위로는 임금에서부터 아래는 지방방백 수령들에 이르기까지 밤하늘의 별을 보며 큰비 작은비를 점치는 일을 큰일로 여겼다.
왜냐하면 우리민족은 예부터 비의 고마움과 두려움을 절감하고 살아왔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나라 전국 곳곳의 명산명수(名山名水)에 바람과 비의 신을 모시는 산천단(山川壇)을 짓고 고을 수령들이 자신의 부덕함을 하늘에 빌고 제사를 지내는 것들이 바로 그런 연유에서였다.
비바람으로 백성들이 피해를 입고 또 많은 바람과 비가 예상될 때는 임금이나 지방방백.수령들은 식사 때마다 반찬을 한두 가지씩으로 감선(減膳)을 하고 거친 목침을 베고 누더기 이불을 덮고 잠으로써 하느님에게 자신의 부덕을 자책했던 것이다.
도내 태풍피해가 생각보다 크다고 한다.
그리고 또 태풍이 온다고 한다.
도민들의 삶을 생각해야 할 자치단체장들은 옛 선인들의 일을 그저 옛날 이야기로 넘겨서는 안될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