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산업 구조개편 최적기다
감귤산업 구조개편 최적기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감귤산업 구조개편이 급류를 타고 있다. 올해 감귤농가의 감귤원 폐원 신청이 쇄도해 오히려 제주도가 폐원 농가에 지원할 자금난을 걱정해야 할 만큼 사정이 뒤바뀌었다.

제주도는 올해 노지 감귤원 폐원사업 계획 면적을 1000㏊로 잡고 300억원의 사업비를 책정했다. 그러나 농가 폐원신청 면적은 지난 20일 현재 이미 1489㏊(2389 농가)로 계획분을 훨씬 초과했다. 이 같은 추세로 갈 경우 올해 폐원신청 물량은 2000㏊에 이를 전망이다.

결론부터 말해 제주도는 농가가 신청한 감귤원 폐원 물량을 전면 수용해야 한다. 농가의 자진 폐원 분위기를 적극 활용해 감귤재배 구조조정사업을 앞당겨 달성하는 절호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제주산 노지감귤 가격의 하락 원인이 과잉생산에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재배 면적 축소를 통한 적정생산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감귤농가의 자진 폐원 동참에 힘입어 2000년 2만5190㏊에 달했던 도내 노지감귤 재배면적이 2003년 2만2471㏊로 무려 2719㏊가 줄어드는 효과를 거뒀다. 불과 3년 새 816만평의 감귤원이 폐원된 것이다.

특히 올해 농가 폐원신청 물량이 모두 처리될 경우 재배 면적을 내년 말까지 2만㏊ 이내로 줄이려는 계획도 앞당겨지게 된다. 적정생산으로 가격안정을 유지하려는 농가의 바람이 그만큼 조기에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량은 해거리 현상으로 70만t에 이를 것으로 제주도는 예상하고 있다. 감귤원 1000㏊를 폐원하고 2분의 1 간벌 확대 등을 통해 60만t 이내로 생산량을 줄일 방침이나 성과는 확신할 수 없다. 간벌과 가지치기 및 열매와 꽃 솎어주기 작업이 기대에 어긋날 경우 또다시 과잉생산이 우려된다.

따라서 확실한 감산 방법은 폐원 확대뿐이다. 제주도는 감귤농가가 신청한 면적을 그대로 받아들여 폐원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역시 관건은 300억원대에 달하는 추가 페원 사업비를 마련하는 일이다. 제주도의회도 제주도의 추가 폐원사업 정책을 적극 지원하지 않으면 안된다.

어차피 지방예산으론 충당하기 힘든 큰 규모의 예산인만큼 중앙정부의 지원 의존도가 클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제주도와 제주도의회가 힘을 모아 농림부 등 정부와의 예산 절충에 나선다면 이 정도의 추가 예산 확보는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일보
제주일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