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1 테러 1주년, 그리고 국제사회의 혼란
9·11 테러 1주년, 그리고 국제사회의 혼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9.11 테러가 발생한 지 1년여의 기간이 지났음에도 국제사회의 혼란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특히 이라크에 대한 미국의 공격을 둘러싸고 그동안 미국과 입장을 같이했던 동맹국들의 연대가 흔들리고 있음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지난 기간 미국이 대테러전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미국의 일방주의 외교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9.11 테러 이후 미국은 자국 주도의 국제질서를 정착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이 과정에서 미국의 대외정책은 종종 ‘힘의 외교’ 추구로 이어져 왔다.

이는 그동안 미국이 이른바 ‘악의 축’ 국가에 대한 강경정책을 고수하고, 미사일방어(MD)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냉전시기부터 세계 군사력 균형의 기초가 되어왔던 탄도탄요격미사일(ABM) 협정에서 탈퇴를 선언했던 사례를 통해서도 잘 알 수 있다.

또한 미국의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며 이 지역의 패권국가로 부상하여 왔다.

미국은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의 군사기지를 사용하며 이 지역에 대한 진출을 가능케 하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중앙아시아 지역은 석유와 천연가스 등 자원이 풍부한 경제적 잠재력을 지닌 지역일 뿐 아니라 러시아와 중국, 인도, 그리고 중동지역을 연결하는 전략적 요충지이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의 미국의 영향력 확대는 러시아와 유럽, 그리고 중국 등 주변 강대국에게 군사 외교적 부담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미국이 대테러전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간과하였던 중요한 측면에 대해서도 지적할 필요가 있다.

이는 9.11 테러가 발생하였던 이면에는 세계화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제3세계의 거부감이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부족하였다는 점이다.

그동안 세계화 현상은 세계 경제의 자유화와 개방화를 통한 세계 경제의 전반적 성장을 가능케 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동시에 세계적 차원에서 부의 불평등한 분배로 인해 상대적으로 저발전된 국가에서 빈곤 문제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유발하였던 측면 역시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미국 주도로 진행되어온 세계화와 서구화에 대해 반감을 가졌던 과격한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이 ‘악의 근원’으로 인식되어온 미국에 대해 저항한 결과 9.11 테러사태로까지 이어지게 되었다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결국 미국 등 서방 선진국이 국제사회에 존재하는 빈곤과 사회적 소외, 그리고 인권의 문제에 대한 ‘근본 원인’을 치유하지 않고, 그로 인한 ‘현상(테러행위)’을 척결하기 위한 노력만 기울이는 것은 그 자체적으로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9.11 테러 1주년을 맞는 현 시점에서 미국의 일방적 대외정책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기반이 약화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오히려 미국이 유일한 초강대국으로 자리매김하는 현상에 대한 경계와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국제연대의 약화는 미국의 일방주의 외교정책이 유지되는 한 계속될 것이다.

따라서 미국은 세계화의 부정적 영향을 축소하기 위한 지원에 앞장서고, 초국가적 테러집단에 대응한 국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우방국의 의견을 경청하는 등 우선적으로 국제사회가 함께 연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