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숭이 섬이 되면
원숭이 섬이 되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옛날에 이리와 여우가 먹이를 찾아 나섰다가 길가에서 고깃덩이를 발견했다.

서로 자기 것이라고 다투다가 좀처럼 끝나지 않자, 지혜롭다는 원숭이에게 찾아가 결판을 내리기로 했다.

재판을 부탁받은 원숭이는 공평하게 나눈다면서 고기를 반으로 잘랐는데, 한 쪽은 크게 다른 한 쪽은 작게 잘랐다. 그러고는 큰 것을 작은 것과 같게 만들어야 한다면서 큰 것에서 한 토막을 잘라내어 자기가 먹어 버렸다.

그런 다음에 다시 비교해보니 이번에는 작았던 것이 더 커져 있는 것이다. 원숭이는 또 한 토막을 잘라 비교하고 되풀이하여 고기를 혼자 다 먹어 버리고 도망을 해버렸다.

▲이 이야기는 우리 민담에 ‘원숭이 재판’으로 전승되어 오는 내용이다.

동물담 중에 이른바 지략담(智略譚)에 속하는 것으로 멍청한 녀석을 속이는 것이 아니라 약은 녀석을 속이는 ‘속을 만한 데 속이기’의 유형이다.

꾀 많은 여우와 사나운 이리가 ‘공평(公平)’이란 명분과 상대방보다 적게 먹지 않겠다는 욕심에 몰입된 나머지 전체의 몫이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이 설화는 다툼의 당사자가 아닌 제3자가 이득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원숭이가 살지 않았다.

그런 때문인지 원숭이와 관련된 민담은 상당히 드물다.

이 ‘원숭이 재판’은 전체의 상황을 보지 않고 오로지 자기 눈앞의 이익만을 다투다가는 결국 그 조그마한 이익마저도 놓치고 만다는 교훈이 담겨져 있다.

그리고 원숭이는 이 설화에서 그 교활성이 부정적이지만은 않다.

욕심과 이기를 징계하는 지혜의 상징이 되고 있다. 원숭이가 도망가고 난 후, 여우와 이리의 표정을 생각하면서 한여름 찌는 더위를 조금 잊어본다.

▲그런데 정부가 제주도를 ‘원숭이 섬’으로 만들려고 한다는 소식이다.

식품의약품안정청과 제주도가 구상 중인 원숭이 섬 계획은 ‘국립 영장류 종합연구단지 조성’이다.

2014년까지 2100억원을 투입해 20만평의 부지에 8000마리에서 1만마리를 기른다는 것이다.

가히 원숭이 섬이 되는 것 아닌가.

그렇게 되면 이 섬에 살고 있는 여우와 이리들의 밥그릇 싸움도 결판이 날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