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의 '조춘일 추석월'서 나와
'예기'의 '조춘일 추석월'서 나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추석의 유래
추석은 ‘예기(禮記)’의 ‘조춘일(朝春日) 추석월(秋夕月)’에서 나온 것이다.
또한 중추절(仲秋節)이라 하는 것도 가을을 초추.중추.종추 3달로 나누어 음력 8월이 중간에 듬에 따라 붙은 이름이다.

그러나 한국 고유명절로 추석은 ‘가윗날’이라 부르는데 이는 신라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김부식이 쓴 ‘삼국사기(三國史記)’ 유리 이사금 조에 의하면 왕이 신라를 6부로 나누었는데 왕녀 2인이 각 부의 여자들을 통솔하여 무리를 만들고, 7월 16일부터 매일 일찍 모여서 길쌈, 적마(積麻)를 늦게까지 했다.

8월 15일에 이르러서는 그 성과의 많고 적음을 살펴 진 쪽에서 술과 음식을 내놓아 승자를 축하하고 가무를 하며 각종 놀이를 하였는데 이것을 ‘가배(嘉俳)’라 했다. 이 때 부른 노래가 슬프고 아름다워 ‘회소곡(會蘇曲)’이라 일컬었다.

가배의 어원은 ‘가운데’란 뜻인데, 진 편에서 이긴 편에게 잔치를 베풀게 되므로 ‘갚는다’는 뜻에서 나왔을 것으로도 유추하고 있다.
고려시대에 나온 노래인 ‘동동’에도 가배라고 적었던 기록이 나온다.

한국의 전통 4명절인 설날.한식.중추.동지에는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내는데 추석 차례 또한 조상을 기리는 추원보본(追遠報本) 행사이다.
호남지방에는 ‘올벼심리’라 하여 그 해에 난 올벼를 조상에게 천신(薦新)하는 제를 지내며 영남지방에서도 ‘풋바심’이라 하여 채 익지 않은 곡식을 천신할 목적으로 벤다.

일부 가정에서는 새로 거둔 햅쌀을 성주단지에 새로 채워 넣으며 풍작을 감사하는 제를 지낸다.
중국에서도 추석날에는 달 모양의 월병(月餠)을 만들어 조상에게 바치고 달을 감상하며 시를 짓는다.

우리의 반달 모양 송편과는 달리 보름달 모양의 월병은 원(元)나라 때 만들어졌는데, 월병으로 시식을 삼고 또한 달을 감상하는 상월(賞月) 행사로 추석날을 보낸다.

이러한 풍습은 일본의 경우도 비슷한데, 동양 3국 가운데 우리 민족만이 이 날을 민족적인 대명절로 여기고 있는 데서 한민족과 달의 명절이 유서 깊음을 엿볼 수 있다.

<자료=두산세계대백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일보
제주일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