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과 移葬
정치인과 移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정치인들의 선친 묘 이장(移葬)은 유독 관심을 끈다.

본인들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그런 움직임이 권력과 무관치 않아왔기 때문이다.

최근 이회창 전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가 이의 중심에 섰다.

이 전후보가 지난 4월 부친의 묘를 이장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진 것이다.

세간에선 그 배경을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부친 이홍규옹은 지난 대선 직전인 2002년 10월 세상을 떠나 충남 예산군 예산읍 선영에 안장됐다.

그 후 1년 5개월 만에 10여km 떨어진 곳인 이씨 문중 산으로 이장된 것이다.

이 전후보측은 집단거주지 500m내에 묘를 쓸 수 없다는 사실을 나중에 알게 됐다 한다.

그리고 군청에서 이장을 촉구해 이에 따른 것이라 한다.

물론 정치와 풍수적 해석을 일축하고 있다.

△정치권에선 반드시 그런 것만 이겠냐며 의혹의 시선을 보내고 있는 모양이다.

사실 부친 이홍규옹이 사망했을 때도 예산 선영의 묘자리를 두고 명당 논란이 일었다.

당시 이 전후보는 한 차례 대선 실패후 권토중래를 노리면서 대선에 도전한 상황이었다.

이에 풍수적 해석은 그럴 듯하게 세를 얻었다.

더군다나 김대중 전 대통령이 1997년 대선 2년 전인 국민회의 총재 시절에 경기도 용인군으로 부모 묘를 옮겨 대통령에 당선됐다는 내용이 회자됐다.

하지만 이 전후보측의 연이은 대선 패배로 명당 논란은 종지부를 찍었던 것이다

△이제 다시 점화되는 것을 보면서 우리사회 권력과 풍수의 끈이 여전함을 알 수 있다.

일부에선 이 전후보가 독실한 천주교 신자로서 풍수에 관심이 없었는데 두 차례나 고비를 마시고 나니까 이게 풍수의 영향이 아닌가하고 이번 이장을 했다고 관측한다.

더욱이 이장전 묘자리도 ‘지인들이 배신할 자리’라는 것도 옮기게 된 연유라고 덧붙인다.

결국 정치재개를 위한 사전 조치의 일환이 아니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 전후보는 “나는 이미 정치를 떠났다”는 말을 측근을 통해 전하고 있다.

하지만 그에게는 어김없이 정치적 해석이 따라 붙고 있다.

다시 대권 행보로 이어질지 두고 볼 일이다.

정치인들의 이장에 대한 이런저런 이야기는 한동안 계속될 것 같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