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편중구조 대책 없나
인구 편중구조 대책 없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도내 시.군 간 인구 편중화 현상이 매년 심화일로를 걷고 있다.
도내 4개 시.군 중 인구가 계속 늘고 있는 지역은 제주시뿐이고 서귀포시를 비롯한 북.남제주군은 빠져나가는 인구 때문에 활력을 잃어가고 있다.

이러다간 3개 시.군이 ‘제주시의 변두리’로 전락하지 않겠느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실제로 최근 4개 시.군의 인구변화를 살펴보면 그 같은 걱정을 뒷받침한다.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도내 주민등록상 인구는 55만269명으로 연초 54만7964명보다 2305명 늘어났다.
하지만 인구증가는 제주시에만 편중된 가운데 시.군 인구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더욱 노골화되고 있다.

제주시 인구는 연초보다 무려 5469명이 늘어난 29만566명으로 도내 전체의 53%를 차지하고 있다.
바야흐로 ‘30만명 시대’를 목전에 두고 있다.
제주시 인구는 1985년 20만명을 돌파한 이래 17년 만에 30만명을 바라보게 된 것이다.

이에 반해 여타 3개 시.군의 인구는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서귀포시가 8만5119명으로 연초보다 201명이 줄어 월드컵도시의 체면을 구기고 있다.

특히 읍.면 지역인 북.남제주군의 사정은 더욱 심각하다.
북제주군의 경우 1269명이 줄어든 9만8939명으로 몇 년간 쌓은 10만명 공든탑이 맥없이 무너졌고, 남제주군 역시 1694명이 감소한 7만5645명으로 주저앉았다.

이처럼 해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인구 불균형 현상은 지역 균형개발과 관련해 많은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인구가 계속 불어나는 제주시는 주택.교통문제 등을 비롯해 택지개발 등 팽창 위주의 도시개발 문제에 직면해 있다.
아파트 가격과 땅값이 올라가고 학교가 부족해 아동수용난이 되풀이되고 있다.

하지만 더 큰 어려움에 봉착한 곳은 인구유출이 끊이지 않고 있는 여타 시.군 지역이다.
인구감소는 지역주민의 위상저하는 물론 지역발전에 심각하리 만큼 엄청난 마이너스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가뜩이나 열악한 지역경제의 기반을 더욱 취약하게 만들고 있다.

인구감소로 남아 돌고 있는 썰렁한 택지가 언제 제모습을 갖출지 의문이다.

소규모 장사로 생계를 이어가는 업주들은 더욱 아우성이다.

사람이 늘어야 옷가지 몇 개, 음식 몇 그릇을 더 팔 수 있는 것 아니냐고 푸념한다.

이들에게 지역의 현안과제를 들라면 주저없이 인구를 늘려 달라는 외친다.
인구 감소는 비단 지역경기뿐 아니라 중앙정부의 지원금 축소와 행정기구의 감축으로까지 연결돼 있어 지역발전 가도에 발목을 잡고 있다.

이 때문에 시.군에서는 정책의 우선 순위로 ‘인구유입’을 선정하고 갖은 정성과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주민소득증대와 삶의 질 향상 등과 관련한 화려한 청사진이 제시되고 공무원들도 발벗고 나서 사람 끌어들이기에 혈안이다.

하지만 늘어날 듯 싶은 인구는 힘을 빼면 바람 빠지는 고무풍선과도 같이 금세 빠져나가기 일쑤다.

그러면 왜 제주시로 사람들이 몰리는가.
그 이유로 자녀의 교육문제와 불편한 생활환경 등을 들고 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농어촌지역에 ‘먹고 살 일’이 차츰 줄어들거나 없다는 데 있다.

이 때문에 주소옮기기 등 인위적 인구늘리기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실질적인 소득증대 등 인구유출을 방지할 근본적인 처방과 실천이 전제돼야 하며 제주도 당국 역시 인구분산과 함께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의 진지한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