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몽유적지 복원과 정비
항몽유적지 복원과 정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북군이 계획중인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종합기본정비사업은 원칙적으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항몽유적지의 관광자원 활용에 연연한 나머지 복원과 정비라는 두 주객을 전도시켜서는 안된다. 어디까지나 이 사업은 복원이 중심이 돼야 한다.

사적지는 우선 복원에 충실하는 게 문화재도 전승되고 훌륭한 관광자원도 된다.
그렇지 않고 정비에 중점을 둔다면 도리어 관광 가치를 떨어뜨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북군이 14일부터 ‘항몽유적지 종합기본정비계획’ 2차 용역에 들어감으로써 그 내용이 어느 정도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는 소식이다.

이에 의하면 이번 용역에서는 체계적인 사적지 발굴에 따른 정비-복원으로 관광자원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가장 중심이 될 시설물은 기념관이 될 것이라는 얘기다.
각종 출토품 및 관련 유물 등을 전시, 교육-연구-관광의 복합기능 공간으로 활용한다는 계산이다.

물론 이미 1970년대에 일부 복원된 항파두리 토성의 동-서-남-북문과 무기 제조창-관아-당시 마을 등을 복원, 재현하는 계획도 포함이 되는 모양이다.

아마 북군 관계자가 “2차 용역에서는 문화-역사자원의 보전-복원에 최우선을 두겠다”고 한 것도 이를 두고 하는 말 같다.

우리는 당국자의 이러한 얘기가 꼭 실천으로 옮겨지기를 바라면서 한가지 주문해 둘 것이 있다.

‘항파두리 항몽유적 종합기본정비계획’에서는 그 무엇보다도 당시 항몽군과 주민들 사이에 대궐로 불리던 관아 복원을 최우선 순위로 올려놓아야 한다는 점이다.

성문-기념관-무기제조창-연못-편의시설 등은 그 다음의 순위여야 한다.

만약 대궐의 제자리 복원을, 우선 순위가 아닌 후순위로 미룬다면 아무리 다른 복원-정비사업이 잘되었다 해도 알맹이 빠진 껍데기에 다름아니다.

그리고 대궐을 복원함으로써 관광지로서의 가치도 배가될 것임이 틀림 없다.
그런 의미에서 계획의 명칭도 ‘종합기본정비계획’이 아니라 ‘종합복원계획’이어야 옳다.

사실 예산 사정이 허락했다면 대궐의 복원은 1970년대 토성 복원과 함께 이루어졌어야 했다.

아무리 기념관을 훌륭히 짓더라도 대궐 복원을 하지 않는 한 그것은 한낱 역사 박물관에 지나지 않는다.
다시 강조하거니와 항몽유적지에서 최우선으로 해야 할 일은 대궐의 복원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