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항공기 연료 보급 위해 고구마 원료로 알콜 생산
일제, 항공기 연료 보급 위해 고구마 원료로 알콜 생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1943년 제주시 건입동에 제주주정공장 완공
제주주정공장은 일제의 경제 수탈기관인 동양척식주식회사가 설립했다. 73년 전인 1940년 제주시 건입동에서 착공, 1943년 완공했다.

4만3685㎡ 면적에 7580㎡ 규모의 공장은 상부와 하부로 구성됐다. 현재 현대아파트가 들어서 있는 공장 상부는 고구마 창고와 분쇄실, 저수탱크를 갖춰 용천수인 ‘지장깍물’을 1일 1만3000t 끌어다 썼다. 하부는 공장시설과 주정탱크 및 50m 높이의 굴뚝이 세워졌다.

절간 고구마(속칭 빼떼기)를 발효한 주정(酒精)으로 항공 연료인 부탄올과 아세톤을 생산, 일본군에 납품했다. 1944년 말에는 제주에 주둔한 일본군의 자동차 연료로 공급됐다.

주정공장은 군용기 연료 보급을 위한 생산기지로, 동양척식회사는 일본 전역에 무수주정(無水酒精)을 공급하는 동양 최대의 시설이라고 자랑했다.

고구마를 발효한 후 증류하면 95% 농도의 무수주정(알콜)을 얻는데 물로 희석하면 소주가 된다.

‘주정공장 굴뚝에서 연기가 나야 제주 경제가 돌아간다’는 말이 나돌 정도로 해방 전후 제주지역 최대의 산업시설이었다.

600여 명의 종업원들은 연간 1만4940㎘의 알콜 원액을 생산했다. 발전기 3대는 연간 4만2000t의 무연탄을 소비했고, 매일 1400㎾의 전력을 생산하면서 공장은 물론 건입동 일대 가옥에도 전기를 공급했다.

공장 간부였던 홍성무씨의 증언에 따르면 공장 상부와 하부를 잇는 통로 계단 중간에 방공호(굴)를 설치, 4계절 12도를 유지해 냉저장고로 이용됐다. 옥상에는 대공 감시를 위해 큰 종을 달고 공습 시에는 경보를 울렸다.

산지항(현 제주항)에서 공장 상부까지 레일을 깔아 고구마와 무연탄을 운반하는 시설도 갖췄다. 산지항을 통해 입·출하 되는 화물의 50% 이상은 주정공장에서 나올 정도였다.

한 때 미군의 공습으로 공장 일부가 파괴돼 가동이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주정공장이 들어서면서 도내 농가에선 고구마를 얇게 썰어 볕에 말린 절간 고구마 생산을 본격화 했다. 공장 측은 한 관(3.75㎏)에 30원에 수매를 했다.

1945년 태평양전쟁 말기에 접어들면서 일제는 고구마 공출을 강요, 농민들을 괴롭혔는데 강제수탈이나 다름없었다.

광복 후 주정공장은 미군정이 접수했고, 창고에 보관된 고구마를 배급해 도민들의 식량난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줬다.

1950년대 주정공장은 민간이 운영하면서 전국 각지에 공업용, 의약용, 음료용으로 알콜 원액을 공급했다. 공장 자체에서도 알콜도수 30%인 소주를 제조, 도내에 공급했다. 소주 이름은 ‘만수주’로 붙여졌다.

1959년 부산대선발효공업㈜이 운영할 당시 냈던 세금은 제주도 총 납세액의 50%를 넘을 정도로 제주에서 가장 큰 기업이었다.

공장은 여러 차례 소유주가 바뀌다가 오폐수 처리 및 원료 구매 문제로 조업이 자주 중단됐고, 1989년 공장의 상징인 굴뚝이 해체돼 지금은 공터로 남았다.

그런데 이곳은 4·3 당시 양민들의 생과 사를 가른 운명의 갈림길이 됐다.

1948년 초토화작전이 전개된 후 수용시설이 부족해지자 군부대는 주정공장 10여 개의 창고를 수용소로 이용했다. 시설이 크다보니 나중에는 도내 최대의 수용소가 됐다. 수용소하면 주정공장을 가리킬 정도가 됐다.

중산간으로 피신해 배고픔과 추위에 떨던 입산자 중 살아남은 주민들은 ‘내려오면 살려준다’는 선무공작에 의해 1949년 봄부터 산에서 내려왔다. 귀순자 3000여 명이 주정공장에 수용되면서 인산인해를 이뤘다.
고문 후유증과 열악한 수용환경 탓으로 죽어 나가는 사람이 있는 반면, 임신부도 수용돼 아기를 낳는 경우도 있었다.

1949년 10월 육군 군법회의는 민간인 249명에게 사형을 내리면서 수용소는 죽음의 그늘이 드리워졌다.

징역형을 선고받은 청년들은 육지 형무소로 이감됐으나 이들 중 대다수는 6·25전쟁 직후 집단희생을 당했다.

한편 제주특별자치도는 2010년 주정공장 수용소 터를 매입, 비극의 현장을 4·3역사공원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현재 주변정비와 안내표지판을 설치했으나 국비 확보에 난항을 겪으면서 본 사업은 궤도에 오르지 못하고 있다.

좌동철 기자 roots@jej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