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가격 폭등 "월세로 갈아타자" 몰려
전세가격 폭등 "월세로 갈아타자" 몰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전세 값이 폭등하면서 월세(보증부 월세 포함)가 전체 주택 임대자 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50%에 육박하고 있다.

 

특히 지난 2월 26일 정부가 월세에 대한 소득공제를 대폭 확대하면서 전세에서 월세로 갈아타는 세입자들도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같은 추세는 제주지역도 예외는 아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제주지역 점유형태별 주택 소유 현황을 보면 자기 소유 10만6000가구(57%), 사글세 3만2000가구(17%), 월세 2만3000가구(12%), 무상 1만5000가구(8%), 전세 1만1000가구(6%) 등으로 자기 소유를 제외하면 월세(사글세 포함)가 전체 가구의 29%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감정원 제주지점이 올해 조사한 제주지역 주택 동향에 따르면 전세 가격이 초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월세나 연세 위주의 도내 주택 임대시장 특성상 전세 공급 물량이 턱없이 부족한 데 따른 것이다. 실제 지난 3월 기준 도내 주택 전세지수는 101.87로 1년 전에 비해 1.7% 상승, 매매 지수보다 갑절 이상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처럼 전세 가격이 폭등하면서 월세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늘고 있다.

 

부동산 중개업소나 집주인 입장에서는 일단 하루라도 빨리 계약을 성사시키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세입자에게 약간의 거짓을 보태거나 불리한 조건은 얘기하지 않다가 계약 뒤 돌변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 전세와는 달리 월세는 보증금과 월 임대료로 이뤄져 있다 보니 임대차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해 세입자와 집주인 간 예상하지 못한 다툼이 벌어지는 경우도 많다.

 

입주 전 월세 세입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은 무엇일까.
▲계약기간 내 월세 인상은 가능한가=세입자가 동의할 경우에만 가능하다. 임대차보호법에서 규정하는 2년 이내에는 월세를 집주인 마음대로 올리지 못한다.
단, 계약서에 관련 내용을 포함해 놓을 경우 5% 이내에서 인상할 수 있다.

 

▲1년짜리 계약을 했다면 1년 뒤 무조건 방을 빼야 하나=월세 인상 문제와 마찬가지로 최소 2년 거주가 보장된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4조를 보면 ‘기간을 정하지 않거나 2년 미만으로 정한 임대차는 그 기간을 2년으로 한다’고 규정해놓고 있기 때문이다.

 

▲하자 발생 시 유지·보수 비용은=모든 하자에 대한 책임은 집주인에게 있다.
하지만 세입자의 관리 부실에 따른 문제의 경우에는 세입자가 해결해야 한다. 자신이 먼저 수선비용을 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반드시 집주인에게 수선 내용을 통보하고 비용을 치러야 한다. 통보하지 않은 비용이 소액일 경우 통상의 관리비용으로 인정돼 집주인에게 비용을 돌려받지 못할 수도 있다.

 

▲월세를 한 달 못낼 경우는=집주인에 따라 허용 범위가 다르겠지만 법적으로는 2회 차임이 연체될 경우 계약 해지 및 퇴거 조치가 가능하다.

 

▲정부에서 한 달치 월세를 내준다는데=월세 소득공제를 세액공제로 전환해 월세액의 10%를 소득세에서 빼준다.
현재는 월세의 40%를 소득공제해 주고 있는데 연봉 3000만원 직장인이 월세 50만원을 낼 경우 지금은 1년간 낸 월세(600만원)의 40%인 240만원을 소득공제한 뒤 21만6000원을 환급받는다.
하지만 세액공제로 전환하면 1년치 월세의 10%인 60만원을 받게돼 소득공제 시보다 40만원 가까이를 더 받게 된다.
김대영 기자kimdy@jej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