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한우.육우 증식 축산 진흥 박차...한진, 제동목장 건설
(15)한우.육우 증식 축산 진흥 박차...한진, 제동목장 건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1972~1973년...재산권 제약한 그린벨트 지정으로 말 많아
▲ 축산 진흥
1972년과 1973년 제주도는 정부 정책에 따라 축산 진흥을 역점 사업으로 추진했다.

박정희 대통령은 1972년 2월 10일 제주도를 연두 순시, 감귤·축산·수산·관광 등 개발 방향을 재천명한 가운데 특히 축산 진흥에 힘쓸 것을 강조했다.

제주도는 이에 따라 같은 해 2월 16일 축우 기본 두수 10만두 확보를 검토하기 시작했다.

목야지 면적 5만㏊를 기준, 1㏊당 2두를 사육한다는 판단에서다.

이미 조성된 목야지 9250㏊에 1억7700만원을 투입해 1500두를 입식시켜 1대 잡종 생산을 촉진시키는 한편 3억5200만원을 투자해 200㏊ 규모의 축산개발사업소를 설치해 축산 개발의 기술적 업무와 인공 수정 업무를 담당하는 계획을 추진한다.

같은 해 3월 21일에는 이승택 제주도지사가 연간 사업으로 목야지 700㏊를 암소 수탁 목장용으로 개량하고, 300㏊를 육성우 목장으로 개량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당시 정부의 축산에 대한 관심은 6월 5일 한림읍 이시돌 농촌산업개발협회 전무이사인 아일랜드 출신 패트릭 J.맥그린치(한국명 임피제) 신부에게 축산 개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해 동탑산업훈장을 수여했던 데서도 알 수 있다.

맥그린치 신부는 1954년 성골롬반외방선교회 선교사 소속으로 천주교 한림공소 신부로 부임한 후 금악리 중산간을 개간해 1961년 성시이돌목장을 설립, 선진 축산기술을 도입해 제주 축산업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박 대통령은 1973년 2월 16일 연두 순시에서도 현대적 축산 방법을 개발하라고 이승택 지사에게 지시했다.

제주일보의 전신인 濟州新聞(제주신문)은 2월 17일 자 1면 보도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소개하면서 박 대통령이 한림읍 금악리에 있는 이시돌목장을 찾아 축산 개발 현황을 샅샅이 살피는 사진을 게재했다.

박 대통령은 당시 외국인이 와서 성공하는 데 우리가 성공하지 못하는 원인이 무엇이냐고 지적하고 목초 재배를 통한 축산 개발을 강조했다.

제주도는 이에 축산 진흥을 위해 총 5억4000만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한우 기본 두수를 4만7400두로 늘리는 한편 인공수정센터 1개소 설치 및 육우 800두 도입, 초지 조성 및 사후 관리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의 한우와 육우 증식을 목표로 한 축산 진흥 정책에 따라 대기업의 축산업 참여가 권장되자 한진그룹 조중훈 회장은 조선 최대의 산마장(山馬場)이었던 제주 동부지역의 녹산장(鹿山場) 터를 사들여 제동목장 건설에 나섰다.

이를 위해 1972년 3월 제동흥산주식회사를 설립, 기업형 목장 중 제주지역 최대인 제동목장을 운영하게 된다.

이처럼 제동목장은 도내 중산간 유휴지 개간을 통해 생산성이 높은 초지를 조성, 초지 위주의 육우 생산 체계를 확립시키는 등 축산 진흥을 위해 탄생했다.

▲ 그린벨트 지정 고시

1973년 3월 5일 건설부는 제주시에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를 설정, 고시했다.

박정희 대통령은 앞서 2월 16일부터 19일까지 제주도를 연두 순시, 이승택 지사에게 ‘도시의 무분별한 확산을 막고 쾌적한 환경 조성을 위해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고 ‘외국에서는 이를 그린벨트라고 하여 이미 오래전부터 실시하고 있다’며 그린벨트 지정 준비를 지시했다.

그 후 불과 며칠 만에 청와대와 건설부 직원으로 구성된 실무진이 내도, 김태진 제주시장을 만나 정부 방침을 설명한 후 이승택 지사를 만났다.

이들은 당시 도지사에게 제주시를 중심으로 조천면에 이르는 구역을 잣대로 그린 듯한 그린벨트를 설정, 설명했다.

그 후 10여 일 만에 건설부는 전격적으로 그린벨트를 고시했다.

이때 그린벨트로 고시된 면적은 제주시 79.48㎢와 신촌리 3.12㎢ 등 총 82.6㎢였다.

이때 일반 도민들은 물론 관청 실무자들도 그린벨트가 무질서한 도시 확장을 막고 도시 주변의 자연환경을 쾌적하게 보전하려는 것이라고 인식했다.

그런데 사흘 후인 3월 8일에야 그린벨트 해당 지역 내의 모든 건축 행위를 제한해 지역주민의 재산권을 제약하는 조치임을 알게 된다.

이때 건설부는 그린벨트 고시와 함께 연동지구 7.32㎢, 중문지구 35㎢, 성산지구 31.3㎢, 조천지구 37.5㎢를 개발예정지구로 고시했다.

제주일보의 전신인 濟州新聞(제주신문)은 3월 10일 자에 1개 면 전체를 ‘그린벨트 어떻게 볼 것인가’ 특집으로 마련, ‘그린벨트 설치 상황도’ 도면을 비롯해 각종 시설 행위 제한 등 내용을 상세히 보도했다.

그런데 제주지역에 고시된 그린벨트는 이로부터 29년이 지난 2001년 전면 해제됐다.

중앙도시계획위원회가 이해 6월 전국에서 처음으로 제주권 그린벨트 82.6㎢에 대해 전면 해제를 결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그동안 각종 규제로 주민들의 재산권 행사를 제약하면서 말 많고 탈도 많았던 그린벨트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그러나 그린벨트 해제 이후 난개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김재범 기자 kimjb@jej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