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난개발 지양하되 규제완화 도시계획 세워야
(2)난개발 지양하되 규제완화 도시계획 세워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안시권 행복중심도시건설청 차장...고위공무원 오른 입지적 인물
▲ 안시권 행복중심복합도시건설청 차장이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는 청사에서 제주의 발전 방안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정부는 대규모 택지개발 보다 구도심의 주거환경을 개선, 인구가 빠져나가는 공동화(空洞化)에 대응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제주 역시 구도심의 재생과 주거환경 개선에 나서야 합니다.”

 

안시권 행복중심복합도시건설청 차장(55)은 1급(관리관) 공무원으로 입지적인 인물로 꼽히고 있다. 지난 3월에는 제주 출신 중앙부처 공무원들의 친목회인 제공회 회장에 취임했다.

 

2006년 문을 연 행복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국토교통부의 외청이다.

 

수도권의 과밀화를 해소하고 국토 균형발전을 위한 세종특별자치시 건설을 위해 설립됐다. 행정중심복합도시는 국민 공모를 통해 2016년 12월 ‘세종시’로 명명됐다.

 

안 차장은 “기획재정부 등 36개 중앙정부와 15개의 정부 산하 연구기관이 수도권에서 세종시로 이전했죠. 현재 인구는 25만명인데 도시계획 및 주택 보급으로 2030년 인구 50만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2030년에는 중요한 고비를 넘겨야한다. 이 무렵 우리나라 총인구는 5296만명을 정점으로 감소하는 ‘인구 절벽’을 맞이하게 된다.

 

이미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지난해 3763만명을 정점으로 찍고 줄어들기 시작했다.

 

그는 제주 역시 14년 후 저출산과 도심 공동화가 가장 큰 사회문제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안 차장은 “세종시는 철저한 계획도시이고 녹지율이 52%로 아파트를 나서면 바로 공원이 나온다”며 “제주도는 무분별한 난개발은 지양하되 큰 틀에서 규제를 완화하는 도시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대형 건축물은 물론 도로·하천·공원 정비 공사는 개별 부서에서 실시하되 인·허가와 주민 갈등 협의를 총괄하는 건축기획조정 부서가 필요하다”며 “도지사는 바뀌고 공무원은 순환보직을 하면서 중장기적인 안목과 발전이 필요한 도시계획은 맥이 끊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제주국제자유도시는 15년 전인 2002년부터 착수해 연차별로 종합계획이 수립됐는데도 표류하고 있다”며 “이는 큰 틀에서 어떤 개념으로 나가야할지 정립이 되지 않아서”라고 꼬집었다.

 

그는 “정권이나 도정이 바뀌어도 정책과 계획은 흔들리지 않아야 제주가 비로소 국제자유도시로 거듭날 수 있다”고 말했다.

 

제공회 회장으로서 그는 “중앙정부의 요직에 있는 제주 출신은 많이 있다. 인맥을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덧붙여 법조계와 의료계, 금융계, 언론계 등 중앙에 있는 제주 출신에 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활용하면 제주의 앞날에 든든한 자산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2014년부터 2년간 국토부 공공기관지방이전추진단 부단장(2급·이사관)을 역임했다. 수도권에 있는 154개 공공기관 및 연구기관이 전국 10개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업무를 총괄했다.

 

그는 “서귀포 혁신도시에 국토교통인재개발원을 시작으로 9개 기관 중 7개 기관이 이전했고, 올 연말까지 남은 2개 기관도 옮기면 이전이 마무리 된다”며 “산·학·연 클러스트를 조성, 연관 기업 유치와 가족동반 이주율을 높이는 데 제주도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서귀포 혁신도시의 안착을 위해 공기업 방문객들이 제주공항에서 직통버스로 혁신도시로 갈수 있도록 교통 편의를 제공하고, 가족이 동반할 수 있도록 좋은 고등학교를 설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