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파도는 섬으로 풍경이다
가파도는 섬으로 풍경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김길웅. 칼럼니스트

강의 나가는 복지법인 춘강의 문학동아리 ‘글사모’ 회원들과 가파도 문학기행에 나섰다. 가파도는 30년 만이다. 그적엔 발동기선 타고 정신없이 휘청댔더니 이번엔 여객선 타고 선실 좌석에 앉아 호사했다. 모슬포에서 남쪽으로 5.5㎞ 떨어진 섬, 가파도 뱃길은 고작 10분이었다. 짧지 않은 동안, 섬이 많이 변해 있었다. 새 건물들과 알록달록 채색 단장한 슬레이트 지붕들이 눈길을 끈다. 파스텔 톤 무채색 옛 섬이 아니었다. 기억 속에서 한 조각 추억을 줍고 있었다. 배에서 내려 몇 걸음에 닿던 민박집 그 아이, 어느덧 중년이 됐을. 그때 초등학교 5학년 소녀 ‘파랑이네’ 집을 도무지 찾지 못하겠다.

섬이 ‘청보리축제’로’ 한껏 달떴다. 보리밭은 작은 섬인 걸 충분히 잊게 한다. 바람도 쉬어가는 청보리밭의 일렁이는 보릿결. 가르마 탄 길 따라 건들바람이 살랑대고 떼 지은 사람들이 바람과 함께 흐른다. 까르르 웃는 정겨운 웃음도, 주고받는 다감한 말들도 함께 흐른다. 이 어인 조화인가. 지척에 굽이치는 창망한 바다가 보리밭으로 흘러들어 남실거리는 것만 같다.

밋밋한 보리밭 언저리에 나무 몇 그루 섰으면, 그래서 해풍에 휘적댔으면. 그게 섬을 역동적이게 했을 텐데. 나무가 없다. 그래도 가파도는 섬만으로 풍경이다.

가파도 문화는 이렇게 속살을 드러내 놓고 있었다.

보리밭 초입에서 희한한 집과 만났다. 글로 쓸 수 있는 알맞은 그림기호는 무엇일까. 소라껍데기와 딱지로 도배한 집이라 하면 되나. 울타리에서 시작해 어귀며 사면의 벽에 이르기까지 온통 소라껍데기와 딱지를 붙여 놓았다. 어루만지다 몇 걸음 물러서서 보지만 그냥 손길이 아니다. 불규칙사방연속무늬가 집을 예술로 완성했다. 마당엔 아이주먹만한 몽돌을 오밀조밀 깔았다. 고 작디작은 것들을 낱낱이 줄 세웠다. 보는 이들이 탄성을 지르며 어깨를 맞대 인증 샷에 바쁘다.

섬은 바다를 끼고 풍경으로 앉아 있었다. 해안 길 올레 10-1코스를 걷기로 했다.

동네 벽들이 해녀의 물질 사진을 붙인 상설 전시장이다. 영등굿 장면도 있다. 마을 사람들이 손으로 뜨고 그린 소품 전시장을 지나니, 눈앞이 바다다. 아이 키 높이로 둘러 바람 막고 해녀들이 언 몸 쬐는 불턱, 가족들의 무사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던 할망당과 선사시대의 유물 고인돌 군락지, 학교와 교회와 대원사 절 마당에 서 있는 해수관음상…. 가파도는 예사 섬이 아니다. 곳곳에 시간의 흔적이 묻어나고 선인들 숨결이 배어 있어, 섬 전체가 자연사박물관이다.

해변 둔덕에 한창 자라는 키 작은 사철나무와 까마귀쪽나무들이 반갑다. 작은 숲이 다. 잇대어 아기 솔들이 줄을 섰으나 바닷바람에 부대껴 벌겋게 떴다. 섬에 숲이 없는 속사정이 있었다. 바다를 끼고 공동묘지가 들어섰는데 이장하다 몇 기 남지 않았다. 이력을 아는 이의 귀띔으론 납골당에다 안치했으리라 한다. 장차 작은 섬에 무덤이 들어설 자리가 없겠다. 무덤을 방풍이라는 풀이 뒤덮고 있다. 고사리나 산딸기나무가 아닌 것도 유별나다.

네 시간 머물며 가파도를 섭렵했다. 책 한 권을 읽은 만큼 담뿍하다. 가파도엔 나무가 없다. 그래도 가파도는 섬으로 풍경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