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저 아닌 정치 산업화된 관광산업의 위기
레저 아닌 정치 산업화된 관광산업의 위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백승주, C&C 국토개발행정연구소 소장/논설위원

레저 산업의 전제로서 근로자의 여가시간이 문제로 부각되기 시작한 것은 1800년대 후반부터였으나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여가 활동의 문제는 자본주의가 고도화되기 시작한 1930년대 이후이다. 특히 레저산업의 활성화 문제는 2차 대전 이후 미국에서 논의되기 시작했다. 대체로 레저 활동은 생물적 생존을 위한 시간과 노동시간 제외한 활동을 의미한다. ‘자유시간이 레저시간이다’라고 단정하는 것은 필요조건에 불과하다. 충분조건은 아니다

최근 기계화 자동화 등으로 근로자의 직접 노동시간이 감소되자 이들은 더 많은 자유시간을 누릴 수 있게 됐다. 여가시간의 증가는 특히 자본주의 하에서 레저 산업의 발달을 가져왔다. 특히 각종 서비스와 물자를 제공하는 산업의 확대, 텔레비전의 보급에 따른 매스미디어의 영향, 가전제품의 보급에 따른 주부 여가시간 증가, 레저 의식 확대 등에 따라 레저 시장의 규모는 전 세계적으로 확장일로다.

레저 활동 중 시장규모가 가장 큰 것은 관광이다. 1970년대 후반 이래 관광이 전체 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물론 취미나 학습 등의 자기 계발적인 레저도 조금씩 증가추세다.

우리나라 레저 산업, 그중 관광산업은 1970년대 후반 이후 고도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서서히 발전하기 시작했고, 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활성화되고, 2000년대 이후 중화권 관광객 증가 추세가 급물살을 타면서 황금시대를 맞는 듯했다. 서울·지방할 것 없이 국가차원에서 각종 공공시설과 도로 등에 대한 사회간접자본 투자가 집중 이뤄지면서 레저 산업의 붐이 조성되고 그 규모가 가속화되는 계기가 마련됐다.

특히 내외국인의 관광 등 레저 활동이 활발해지고, 내외국인의 레저산업 투자가 집중되면서 그 규모 또한 대형화됐다. 제주처럼 레저산업을 위한 특정지역개발도 봇물을 이뤘다. 국내 그 합계 시장금액이 국민총생산(GNP)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매우 높아졌다.

그런데 최근 한국관광이 예측 불허의 위기상황을 맞고 있다. 국내 경제상황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서 내국인의 레저 활동이 침체되고 외국인의 한국관광 등의 활동이 예전만큼 전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한국관광 등의 특수를 지탱해주었던 중국, 일본 등이 정치적 또는 외교적 난제를 들이대어 자국인의 한국관광 등을 의도적으로 차단하는 조치등을 취하면서 사태는 예측을 불허하고 있다.

이를 테면 예컨대, 중국은 2016년 소위 ‘사드 보복조치’를 단행한 이후 지속적으로 한국행 유커의 한국방문 모집 자체를 아예 의도적으로 차단하고 있고, 일본 또한 이른바 ‘우리 대법원에 의한 일제 강제징용판결에 따른 일본기업 재산 압류 조치’ 등을 내세워 자국인 스스로 국익을 존중하거나 아니면 자국의 정치적 결단을 존중하는 형태로 한국에서의 여가 활동을 포기하는 사태가 예사롭지 않게 전개되고 있다. 그렇다고 우리 정부 차원에서 호혜적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도 아니다.

생각건대 국가 간에 특히 국익보호차원에서 상대국 여행이 의도적으로 차단되는 소위 ‘관광산업의 정치산업화’가 일반화될 개연성이 매우 커졌다. 그럼에도 이에 대한 속시원한 대책은 드러나 있지 않다. 전혀 맥을 추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을 뿐이다. 특히 제주의 경우가 더욱 심각하고 예측을 불허하고 있다. 여차하면 파국을 면치 못할 위기에 직면해 있다. 제주든 중앙정부든 그럴듯한 대안 하나 제시하지 못하는 상황이 답답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