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전역서 해양쓰레기 '몸살'...처리도 '골치'
도내 전역서 해양쓰레기 '몸살'...처리도 '골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염분과 이물질 묻어있고 분리 안돼 혼합 수집...도내 소각장 반입 꺼려
제주시 조천읍 집하장에 소각 처리 못한 해양쓰레기가 쌓여 있는 모습.
제주시 조천읍 집하장에 소각 처리 못한 해양쓰레기가 쌓여 있는 모습.

도내 전 해안가에서 널려 있는 쓰레기로 해양환경이 몸살을 앓고 있지만 발생량은 줄지 않으면서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연간 1만t이 넘는 해양쓰레기 수거와 보관·처리에 60억원이 넘는 재원을 투입하면서 적지 않은 예산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18일 제주도에 따르면 연간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2016년 1만800t, 2017년 1만4062t, 2018년 1만2412t, 2019년 1만6112t이다. 지난해 해양쓰레기 수거와 처리에 61억원이 소요됐다.

염분과 수분량이 많고 이물질이 묻은 해양쓰레기는 도내 소각장에서 반입을 기피, 25%는 도외로 반출해 처리하고 있다. 염분이 함유된 쓰레기를 소각하면 시설 고장 등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특히 재활용품과 가연성, 불연성(금속·그릇)이 혼합되다보니 하루 500t을 처리할 수 있는 구좌읍 동복리에 있는 광역소각장에서 반입을 꺼리면서 도내 15곳의 집하장마다 해양쓰레기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 상태다.

해양쓰레기는 육상쓰레기와 달리 염분·이물질과 따개비 등 해양생물이 묻어있지만 탈염처리 등으로 이를 제거할 수 있는 소각 전(前) 처리시설 시설은 도내에는 없다.

더구나 밀물이 오기 전 신속한 수거가 필요해 플라스틱류와 비닐류, 폐목재, 폐그물 등을 분리하지 못하고 혼합 수거가 이뤄지고 있다.

이를 분리해 최종 소각까지 1t당 40만원이 소요되고 있다. 이는 생활쓰레기 소각 비용(1t당 9만3200원)의 4.3배에 이르고 있다.

생활쓰레기와 파래·모자반까지 혼합된 해양쓰레기는 소각 처리가 어려워 과거 매립 위주로 처리를 했다. 그 결과 도내 쓰레기 매립장이 조기 포화되는 한 원인이 됐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도는 2018년 용역을 수립, 염분과 이물질 제거는 물론 쓰레기를 자동 선별·분리할 수 있는 해양쓰레기 전(前) 처리시설 조성에 나섰다. 지난해 국비 150억원을 요청했지만 반영되지 않았다.

제주도 관계자는 “4면이 바다인 제주에 해양쓰레기 전(前) 처리시설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해양수산부와 환경부의 사전 수요조사에서 제주도 대신 다른 지자체 2곳이 선정돼 국비가 반영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 해양수산부와 환경부는 2018년 8월 의견 조율을 거쳐 해양쓰레기 수거는 해양환경관리법에 따라 해수부가 맡고, 운반·처리는 폐기물관리법에 의거, 환경부가 맡기로 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