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가 발굴·선양, 더 박차 가해야
독립운동가 발굴·선양, 더 박차 가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101주년 3·1절을 맞아 정부가 제주지역 애국지사 3명을 선정, 독립유공자로 포상했다. 1918년 법정사 항일운동에 참여했다가 체포된 고(故) 지갑생 선생과 1919년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다 징역형을 받은 故 조창권·조창국 친형제가 포함됐다. 뒤늦게나마 이들이 국가보훈처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추서된 건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럼에도 우리가 우려하는 것은 광복 75년이 됐는데도 독립유공자 발굴·관리가 아직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데 있다. 1996년 제주도가 발간한 ‘제주항일독립운동사’와 2005년 향토사학자 김찬흡 선생이 펴낸 ‘제주항일인사실기’ 등에 기록된 제주지역 독립운동가만 600여 명에 이른다. 그중 독립유공자로 서훈 받은 인사는 올 추서된 이들을 포함해 196명에 그치고 있다. 추정치의 3분의 1 수준이다.

아직도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기록을 찾을 수 없거나 행적 불분명 등의 사유로 아무런 예우와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대표적인 예가 일본 오사카에서 항일운동을 한 조천읍 출신 김시숙 선생의 경우다. 신진회 활동 등을 통해 조국 독립운동의 중심에 있었지만 유족이 없다는 이유로 서훈이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다.

역사의 그늘에 묻혀있는 독립유공자들이 많다는 걸 모르는 바 아니지만 실상을 접하고 보니 새삼 무거운 책무감이 든다. 그런 상황에 아직까지 공적을 인정받지 못한 독립운동가 발굴 운동이 민간 차원에서 진행된다니 반가운 소식이다. ‘제주항일 독립운동가 발굴·서훈 추천위원회’는 그 첫발로 故 이신호·좌행옥·김홍규·강일빈 선생 등 4명의 서훈을 28일 추천했다.

잊혀져가는 독립유공자 후손들은 가난과 함께 한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고 한다. 그들의 74%가 월 소득 200만원도 채 안된다는 통계도 있다. ‘독립운동가 집안은 3대가 가난하다’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다. 목숨을 초개 같이 여긴 애국지사들이 있었기에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다. 이들의 삶을 기리고 합당한 예우를 하는 데 정부와 국민 모두가 진력을 다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