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당(脫黨)의 계절
탈당(脫黨)의 계절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고경업, 전략사업본부장 겸 논설위원

정당(政黨)이란 정치적 뜻을 같이 하는 결사체로, 정권의 획득을 목표로 한다. 사전엔 그 뜻이 ‘정치적인 주의(主義)나 주장이 같은 사람들이 정권을 잡고 정치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조직한 단체’라고 돼 있다. 줄여서 당(黨)이라고 하기도 한다.

당원(黨員)은 정당에 가입해 구성원이 된 사람, 곧 당적(黨籍)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 그러면 탈당(脫黨)은 당원이 자기가 속해 있던 당을 떠난다는 말이다. 즉 정당에서 탈퇴하는 것이다. 자연적으로 복당(復黨)하거나 다른 정당에 입당(入黨)하기 전까지는 ‘무소속’ 신분이 된다.

▲당원이 탈당을 하는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다. 우선 국회의장같이 무소속 신분이 의무인 경우다. 대개 이렇게 당을 떠나면 임기만료 후 복당하는 사례가 대부분이다. 공무원으로 임용된 때에도 해당된다. 국가공무원법에 따라 공무원은 정당에 가입할 수 없다.

정치적 이해관계와 당내 헤게모니 싸움 등에 의해 당을 나가거나 옮기는 경우도 허다하다. 정당법은 (누구든지) 두 개 이상의 정당에 동시에 가입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공천(公薦)과 관련해 탈당을 하는 예도 부지기수다. 이 사례는 선거철에 이미 고질화 된 지 오래다.

▲정치인이 탈당할 때는 대체로 비장함이 가득하다. 특히 공천 결과와 경선 과정에 불복해 당을 나가는 경우 더 그러하다. 자신의 정치생명에 대한 극약처방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 정치풍토상 당적을 버리고 무소속으로 출마한다는 것 자체가 모험이다.

그러기에 그들의 ‘탈당의 변(辯)’엔 절실한 메시지가 뒤따른다. ‘고뇌에 찬 결단’이란 말도 빼놓지 않는다. “내가 출마하지 않으면 이기기 힘들다”는 주장도 서슴지 않는다. 명분을 만들지 못하면 자칫 소리(小利)를 쫓는 후보로 비춰질 수 있어서다.

▲4·15 총선이 28일 앞으로 다가왔다. 여야 각당의 공천작업이 마무리돼가면서 본선 대진표가 속속 확정되고 있다. 그 과정서 여야 가릴 것 없이 후폭풍이 거세다. 컷 오프(공천 배제)된 전현직 의원들과 공천 탈락자들의 무소속 출마 선언이 속출하고 있는 것이다.

바야흐로 ‘탈당의 계절’이 돌아왔다. 선거철만 되면 매번 반복되는 풍경이기에 새삼스럽지는 않다. 한데 거기엔 유력 주자와 중진 정치인들이 적잖다. ‘정치무상(政治無常)’이다. ‘어제의 동지가 오늘의 적’이 되는 비정한 선거판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