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돌아온 제주의 4월’
‘다시 돌아온 제주의 4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강재병 정치부장

다시 4월이다. 4·3의 아픔을 품은 제주의 4월은 언제나 깊은 울림이 있지만 올해 4월은 그 어느 때보다 그 의미가 더할 듯싶다. 4년마다 돌아오는 국민의 대표를 뽑는 해이기 때문이다.

제21대 국회의원선거가 이제 12일 앞으로 다가왔다. 어제부터 공식선거운동이 시작됐으니, 국회 입성을 위한 총성 없는 전쟁이 본격화된 셈이다.

제주에서는 3개 선거구에 모두 15명의 후보가 출사표를 던졌다. 제주시갑 7명, 제주시을 5명, 서귀포시 3명이다. 이들 중에서 여의도에 입성할 수 있는 사람은 단 3명뿐이다. 제주도의회의원 재·보궐선거도 서귀포시지역 3개 선거구에서 치러지고, 7명의 후보가 도전장을 내밀었다.

우리는 어떤 인물을 우리를 대표할 국회의원, 도의원으로 뽑을 것인가. 선거가 다가오면 우리는 늘 정책선거를 앞세우고 합리적이고 최선의 선택을 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여론조사를 보면 항상 ‘인물’이나 ‘자질’, ‘정책 공약’으로 후보를 선택하겠다는 답변이 많다.

그러나 선거를 치를 때마다 반복되는 얘기지만 현실에서는 정책선거를 찾아보기 힘들다. 과열, 혼탁, 비방이 난무하기도 한다.

특히 제주라는 그리 넓지 않은 지역사회에서는 혈연, 지연, 학연이 선거를 좌우할 가능성이 크다. 혈연, 지연, 학연에서 이제는 벗어나야 한다고 입버릇처럼 말하지만 여전히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어떤 후보의 고향은 어디인지, 친척은 누구인지, 어느 학교 출신인지가 선거에 아주 중요한 요소가 돼버렸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후보 배우자의 고향과 친족, 출신학교까지 더해지고, 더 심해지면 후보의 부모와 형제자매 등으로 계속 늘어나기도 한다.

선거에서 혈연, 학연, 지연을 아예 무시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런 요소들이 선거의 중심이 된다는 현실은 안타까운 일이다. 제주의 미래를 위해서 이제는 ‘머니머니해도 괸당’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야 하는 것 아닌가.

이번 선거에서는 먼저 후보자의 정책공약을 꼼꼼히 확인하고 소중한 유권자의 권리를 행사해 보자. 정책에 대한 후보자의 능력과 의지, 나에게 필요한 후보자의 정책을 확인하고, 학연·지연이 아니라 제주와 대한민국에 꼭 필요한 진짜 적임자인지를 따져보자.

특히나 이번 총선에서는 선거사상 처음으로 만18세 ‘고3 유권자’가 선거를 치른다. 처음으로 자신의 한 표를 행사하는 유권자들이 선거의 의미를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코로나19가 대한민국을 물론 전 세계를 휩쓸면서 투표율이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더욱이 코로나19로 인해 선거운동이 제약될 수밖에 없어 선거에 대한 관심은 더욱 줄어들 수도 있다.

제주지역 국회의원선거 투표율은 2008년 53.5%, 2012년 54.7%, 2016년 57.2% 등으로 50%대에 머물러 있다. 전국 투표율보다도 소폭 낮은 수준이다. 투표율이 낮으면 적은 득표로도 당선될 수 있고, 결국 민의가 왜곡될 수 있다.

흔히 선거를 ‘민주주의의 꽃’이라고 한다. 하지만 제대로 선택하지 않으면 독(毒)될 수도 있다.

제주는 현재 심각한 위기에 빠져 있다. 제주경제는 2018년에 10년 만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고, 지난해는 2018년보다 더 힘들었으면 힘들었지 결코 나아지지는 않았다. 올해 역시 전망이 낙관적이지 않았는데 코로나19까지 겹쳤다.

제주의 생명산업인 감귤과 1차산업도 위기에 처했고, 부동산과 건설경기는 침체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제2공항은 물론 도민사회 전체가 크고 작은 갈등으로 뒤덮여 있다.

이처럼 엄중한 시기에 다시 4월이 돌아왔다. 아름다운 제주의 4월에 ‘꽃’을 선택할 것인가, ‘독’을 선택할 것인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