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 감염병 전담팀 제대로 가동하라
보건소 감염병 전담팀 제대로 가동하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가장 많이 지적됐던 문제는 접촉자 격리와 역학조사 결정 등에서 모두가 갈팡질팡했던 점이다. 코로나19가 창궐한 지금도 보건당국의 현장 감시 및 방역체계를 짚어 보면 여전히 아쉬운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제주만 해도 공공의료 최일선인 6군데 보건소의 감염병 전담인력 구성 등이 소홀한 것으로 드러났다. 제주도감사위원회가 엊그제 발표한 행정시 보건소 특정감사 결과다.

제주보건소와 제주서부보건소, 제주동부보건소 등 3곳은 2018년 감염병 위기관리대책을 수립하면서 감염병 전담인력을 아예 구성하지 않았다. 역학조사반도 21명으로 짜인 뒤 같은해 11명을 전보 조치했다. 서귀포보건소와 서귀포동부보건소, 서귀포서부보건소 역시 사정은 비슷하다. 2018년과 2019년 감염병 전담인력을 줄인 뒤 이렇다 할 조처를 하지 않았다.

감염병에 대비한 개인보호 장비나 의료 물품도 계획 물량보다 부족하거나 유효기간이 경과한 채 비축했다고 한다. 특히 보건소 직원 244명은 결핵검진을 매년 받아야 하지만 시행하지 않았고, 결핵실 등에서 근무하는 고위험군 의료인조차 잠복결핵감염검진을 받지 않았다. 결국 특별검진에서 2명이 양성 판정을 받기도 했다. 이런 시정·주의 조치가 36건이나 된다.

상황이 이렇다면 감염병 전담팀이 있든 없든 비상시에 최일선 연락망부터 구멍이 날 수도 있다. 공공의료 현장이 뒷받침되지 않고서야 아무리 좋은 매뉴얼을 만든들 별 소용이 없다. 도감사위가 두 조직을 재구성할 것을 요구한 건 마땅하다. 감사가 끝나면 흐지부지할 게 아니라 이번 기회에 제대로 바로잡는 것이 실로 중요하다.

방역의 최전선에서 일하는 필수인력의 확충은 막중한 사안이다. 신종플루·메르스·코로나 등에서 경험하는 교훈은 감염병 전문인력이 평소에 존재해야 한다는 거다. 그래야 감염병 교육과 감시 등 공공 인프라가 유지될 수 있다. 해외 감염병이 주기적으로 유입되는 시대다. 도 당국은 전문인력을 끌어들일 수 있는 환경을 고심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