툭하면 위탁 관행, 효율성은 따지고 있나
툭하면 위탁 관행, 효율성은 따지고 있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도가 산하 공기관에 위탁하는 사업이 크게 늘면서 행정이 해야할 일을 떠넘기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제주도의회 전문위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13개 출자·출연기관과 3개 공기업에 투입된 예산은 2023억원에 이른다. 전년 1533억원보다 32%(490억원) 늘었다. 대표적인 곳이 제주신용보증재단 152%, 경제통상진흥원 89%, 제주국제컨벤션터 58%, 제주의료원 34% 각각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다른 기관들도 대체로 100억원이 넘게 집행됐다.

문제는 도 산하 인력은 매년 증가 추세인데도 공기관 위탁 사업비가 급증한다는 점이다. 제주연구원의 보고서를 보면 도 산하 공무원은 2016년 7861명, 2017년 8017명, 2018년 8895명 등으로 매년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그에 따른 인건비만 올 7014억원에서 2021년 7236억원, 2022년 7305억원 등 해마다 늘 것으로 추산됐다. 다 세금에서 나가는 것이다.

알다시피 위탁 사업은 비핵심 업무를 외주로 돌림으로써 공공인력을 줄이는 대신 그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함이다. 하지만 매년 공무원 증원에도 위탁 규모는 늘어 행정이 본업을 회피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혈세낭비라는 질타가 뒤따르는 건 당연하다. 어찌 보면 공공서비스의 위탁은 양날의 칼과 다를 바 없어 보인다.

물론 위탁사업도 특정 영역에서 잘만 운영한다면 재정 압박을 덜면서 서비스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허나 이것이 공공부문의 만병통치약인 양 남발된다면 역기능을 가져올 수도 있다. 거기에 허술한 관리·감독까지 가세할 경우 자칫 행정의 고질적 구태가 될 수 있음은 불문가지다. 그간의 위탁사업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매해 관행으로 굳어져온 게 그를 입증한다.

상황이 이러다 보니 제주도의회에선 용역 만능주의라는 질책이 다반사로 이어진다. 위탁사업의 적정성을 평가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제주연구원 역시 무분별한 위탁사업을 제한하기 위한 조례 제정을 서둘라고 주문한 바 있다. 근래 지방세 수입이 줄면서 도는 유례 없는 재정난을 겪고 있다. 공직의 효율성에 대한 정밀진단을 통해 낭비적 요소부터 제거하는 게 마땅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