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트라우마센터 국비 운영 법제화해야
4·3트라우마센터 국비 운영 법제화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지난 5월 6일 개원한 4·3트라우마센터가 유족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한다. 제주도에 따르면 센터 개원 후 2개월여간 이용건수는 3400건을 넘어섰다. 그간 280명이 등록해 누적인원으로 1374명이 방문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치유프로그램의 경우 참여자의 97.7%가 만족한다는 응답이 나왔다. 참가자들은 “센터에서 4·3 이야기를 털어 놓으니 맺힌 한이 다 풀어지는 것 같다”는 소회를 털어놓고 있다. 센터가 그들의 70여 성상의 아픔을 치유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는 평가다.

하지만 4·3트라우마센터 방문객들이 예상을 넘어서면서 안정적 운영을 위한 선결과제들이 떠오르고 있다. 당장 급한 게 내년에 필요한 국비 6억1600만원의 확충이다. 툭하면 형평성 등을 이유로 국고 지원에 고개를 가로젓는 게 정부 논리여서 철저히 대응력을 갖춰야 한다. 뿐만이 아니다. 벌써부터 시설 및 공간 부족 문제가 제기돼 해결방안이 급선무다. 고령자를 위한 방문 치유서비스도 필요한 상황이다.

이 모든 걸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센터를 국립으로 격상하는 게 해법이다. 현재 시범사업으로 운영되는 센터를 4·3특별법에 명시해 법제화하는 것이다. 그래야 예산과 시설, 전문인력을 제때 확보해 센터 운영에 내실을 기할 수 있다. 그게 아니라도 4·3의 참극을 겪은 제주에 국립트라우마센터가 들어서는 건 당연한 조치라고 본다.

주지하다시피 4·3은 과거 청산과 치유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그 후유증이 진행형이다. 잠정적 치유 대상자만 1만8000명에 이른다. 그럼에도 그동안 전문적 치료와 재활 등 후속조치가 전무했다. 이제라도 4·3트라우마센터가 시범사업을 넘어 국가사업으로 전환이 절실한 까닭이다.

제주에 4·3트라우마센터가 건립된 건 큰 의미를 갖는다. 국가권력이 가한 폭력에 책임지는 의지를 보인 게다. 그런 의미를 살려 도 당국은 국립트라우마센터 유치를 위해 정책 기능을 보다 강화해야 할 것이다. 제주 국회의원들도 여당이라는 유리한 정치 지형을 십분 활용해 여기에 힘을 보태길 바란다. 무엇보다 사안의 중대성을 살피는 정부의 전향적 자세가 요구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