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감귤, 비대면 시대에 뒤처지나
제주감귤, 비대면 시대에 뒤처지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코로나19 속 시장 상황 급변했지만 道 정책은 그대로
커지는 온라인 시장 대응책 미비…혁신적 변화 요구
제주일보 자료사진.
제주일보 자료사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농산물 유통에도 많은 변화가 오고 있지만 제주의 주력산업인 감귤의 유통계획은 시장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16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감귤 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에 따라 2차 감귤생산 관측조사 결과(9일)가 발표되고, 곧바로 ‘2020년산 노지감귤 생산전망 및 유통계획’이 수립됐다.

유통처리계획을 보면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예상량인 52만8000t 중 상품용 도외출하 29만t, 수출 4000t, 군납 2000t이며, 가공용 8만1000t, 기타(택배, 도내소비 등) 15만1000t이다.

전년과 비교해 유통처리 계획 물량만 달라졌을 뿐 유통처리 세부전략은 별반 다르지 않다.

▲성탄절·연말연시·설명정 등 특수에 대비한 유통전략 추진 ▲다양한 해외시장 개척을 통한 수출 추진 ▲고품질 감귤 군납 추진 ▲산지전자경매, 전속거래 등을 통한 대형마트·백화점 등 직거래 확대 ▲비상품 감귤 시장유통차단 ▲비상품감귤의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가공처리 ▲소비촉진 판촉 및 홍보 등이다.

코로나에 따른 시장 상황 변화에 대한 대책이 이번 유통처리 계획에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아울러 농정당국은 지속적인 온라인 유통시장의 확대는 예상하고 있지만 이에 따른 대책은 제시하지 않고 있다.

다만 온라인 유통플랫폼 연계로 소비자와 비대면 직거래, 집문 앞까지 배송하는 온라인 창업 지원 계획은 포함하고 있다.

농산물 유통 전문가들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비대면 온라인 거래가 지속적으로 확대돼 기존의 오프라인 거래를 상당 부분 대체하고, 농산물의 도매와 산지·물류 부문의 혁신적 변화를 요구된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와 관련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 관계자는 “코로나 확산으로 농식품 유통에도 많은 변호가 요구되고 있다. 감귤산업도 시장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며 “예를 들어 감귤 수출의 경우도 해외 홍보를 위한 바이어 초청이나 현지 방문도 지금 시점에서는 어렵다”고 말했다.

전병화 제주도 농축산식품국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대책이 이번 유통계획에 빠진 것은 인정한다”며 “향후 시장 상황 변화에 맞는 유통계획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