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연안 37% 해수면 상승 재해위험 '취약'
제주연안 37% 해수면 상승 재해위험 '취약'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연구원, 해수면 상승 영향에 따른 제주지역 관리방안 연구보고서
구좌읍 월정리, 성산읍 신산리 연안, 한림읍 협재리 일부 취약성 높아
종합 재해취약성 등급별 분포도=제주연구원 제공
종합 재해취약성 등급별 분포도=제주연구원 제공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제주지역 연안 37%가 재해에 취약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제주 동쪽지역인 구좌읍 월정리, 성산읍 신산리 연안과 서쪽지역인 한림읍 협재리 일부 지역의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관리방안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제주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해수면 상승 영향에 따른 제주지역 관리방안 연구’ 보고서(연구원 박창열·문경태·강민석)를 24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제주해안에서 1㎞ 이내 연안을 대상으로 현재와 미래의 기후 변화, 침수 및 해일피해, 인구 변화, 개발사업, 저지대 지형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한 ‘현재 재해취약성’과 ‘미래 재해취약성’을 반영해 해수면 상승에 대한 종합 재해취약성을 분석했다.


제주 전체적으로 보면 동쪽지역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고 서쪽, 북쪽지역 순으로 취약성이 높았다. 반면 남쪽 지역은 상대적으로 취약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재해취약성 Ⅰ등급 지역은 8.5%, Ⅱ등급 지역은 28.5%로 파악되는 등 해수면 상승 영향에 취약한 지역이 제주 연안지역의 3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취약성 1등급은 월정리 인근에서 신산리 인근 연안지역에 집중 분포돼 있고, 제주 서쪽의 협재지역 일부도 취약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귀포시 동지역과 남원읍 일부 지역은 취약성 등급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해수면 상승에 대한 재해취약지역은 서귀포시 동지역과 남원읍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제주도 전 해안선 일대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해수면 상승 재해취약지역 내에 시가화지역 비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취약계층 비율도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이러한 요인을 고려한 차등적 관리방안 마련이 요구됐다. 아울러 개발입지 관리, 건축물 관리, 취약지역 내 위험요인에 대한 사전 예방적 관리 등의 필요성이 제시됐다.


연구원은 “제주 해수면 상승률은 전 세계적으로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음에 따라 제주도정뿐만 아니라 중앙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며 “기후변화 영향으로 해수면 상승률이 더욱 확대될 수 있는 만큼 연안저지대 등 재해취약지역에 대한 관리방안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