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花紋護謨靴/佳韻(화문호모화; 꽃고무신/가운)
(220)花紋護謨靴/佳韻(화문호모화; 꽃고무신/가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作詩 歸之軒 金淳宅(작시 귀지헌 김순택)

納新花履詣前挨 납신화리예전애 새 꽃신 신고 앞으로 가라며 밀치지만

引退逡巡喜壽懷 인퇴준순희수회 뒷걸음질로 희수를 회고하네/

士紳誇出示 아사신인과출시 점잖은 신사가 자랑삼아 신발을 내보이며

行而拒轍步徒佳 행이거철보도가 걷는 게 아름답다고 차를 막아서네/

無知遺興何무지유흥하간처 흥이 남겨질지는 모르나 어디로 갈까

以樂忘形姹華鞵 이악망형차화혜 체면 잊고 즐겁게 화려한 신발 자랑했지/

歲月無悠謂貴 세월무위유위귀 세월은 하염없이 오래고 귀하다지만

弟妹慰다정제매위로차 누이의 잔정에 위로가 남다르네/

주요 어휘

護謨靴(호모화)=고무신 納新花履(납신화리)=꽃신을 새로 신다 =이를 예. 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다다르다. 나아가다 =칠 애. 밀치다. 등치다 引退(인퇴)=물러남. 물러나옴 逡巡(준순)=뒷걸음질 喜壽(희수)=77忘形(망형)=체면을 잊다 雅士紳人(아사신인)=선비와 벼슬아치. 점잖은 신사 行而拒轍(행이거철)=차를 막아서다 (차타)=자랑하다. 과시하다 =어긋날 차. 남다르다

해설

작은누이는 망칠(望七)의 할머니이지만 나에겐 여전히 '수다스러운 누이들'이다. 오라버니 생일이라고 꽃신을 사왔다. 12()짜리 새 검엉고무신의 신 둘레에 파르라니 물망초 꽃을 곱게 그려 꽃신으로 재생한 것이었다. 신발은 앞으로 걸어가라는 물건이라지만 꽃신은 뒷걸음질로 옛 추억을 되살려 주었다. 원래 꽃신은 어린아이나 여자들이 신었다. 그런데 작산하르방이 팔자에 없는 꽃신을 신게 되었으니 마당이나 길에 신고 다니기가 남사스러웠다. 사실은 그냥 닳도록 신기가 아까웠다. 명절 때나 새 걸로 신어보던 신발, 너나없이 검정 고무신이었지만 아마 그때 같으면 꽃신이 아니어도 신어보고 또 신어보고, 머리맡에 두고 잠자리에 들었을 것이었다.

<해설 귀지헌 김순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