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AI 발생, 초동 대처 빈틈없어야
고병원성 AI 발생, 초동 대처 빈틈없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가금류에 치명적인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제주에서 다시 발생했다. 당국의 정밀검사 결과 한림읍 금악리의 한 오리농장이 고병원성 AI 확진 판정을 받은 것이다. 18개 농가에서 닭·오리 14만여 마리가 살처분 됐던 2017년 6월 이후 3년8개월 만이다. 코로나19 사태가 1년 넘게 지속되는 상황에서 엎친 데 덮친 격이다.

제주도는 지난 13일 공수의 등 인력을 투입해 이곳에서 사육 중인 오리 6000여 마리를 살처분 매몰했다. 아울러 해당 농장 반경 10㎞ 안의 가금농장 55곳과 도내 산란계 농장에 대해 7일간 이동 제한 명령을 내렸다. 또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의뢰해 고병원성 AI바이러스 감염경로 등 발생 원인을 조사 중이다. 이번 AI 바이러스가 전염속도가 워낙 빠른 H5N8 고병원성으로 최종 판명된 데 따른 조치다.

올 고병원성 AI는 지난해 11월 말 정읍의 육용오리 농장에서 시작된 뒤 경북·전남·충북·세종·제주 등 전국으로 퍼져 확인된 것만 93건에 달한다. 이미 닭과 오리 등 가금류 2370만 마리가 살처분 매몰됐다. 정부가 산란계 사육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농장출입 통제 및 정밀검사 등 특별대책을 추진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앞서 2016년 11월 전국적으로 AI가 발생했을 때 정부의 초동대응 실패는 그 대가가 혹독했다. 가금류 3700만 마리가 살처분됐고, 1조원의 재산 피해를 냈다. 제주에서도 2017년 6월 전북 군산의 종계장에서 반입한 오골계에서 고병원성 AI바이러스가 확인돼 18개 농가의 14만 마리가 살처분됐다. 당시 육지부에서 가축을 반입해도 농가 신고에만 의존하는 소극적 방역체계가 화를 키웠다는 지적을 면치 못했다. 이 모두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선례들이다.

AI가 확산되면 가금류 농장은 물론 관련 업계에도 큰 피해가 돌아간다. 제주의 청정 이미지와도 연관된 문제다. 가뜩이나 피폐해진 서민들의 살림살이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고강도 예찰과 빈틈 없는 방역, 이것만이 AI 발생 후 피해를 최소화하는 길이다. 제주도정은 금번 고병원성 AI의 조속한 퇴치로 위기관리 능력을 보여줘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