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제주도,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최소화 추진
정부·제주도,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최소화 추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지난 9일 제주서 제주 에너지협의회 개최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지난해 77회 달해
ESS 설치, HVDC 역송, 잉여전력 활용 등

공급 과잉으로 출력이 제한되고 있는 제주지역 재생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출력제어 최소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해 관심이 모아진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9일 제주에서 올해 제1차 ‘제주 에너지협의회’를 개최하고, 제주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최소화 방안을 협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산업부, 제주도, 한전, 전력거래소, 에너지공단, 제주에너지공사, 전기안전공사, 발전사업자 등이 참석했다.

정부와 제주도에 따르면 제주지역 재생에너지 설비량은 태양광 448㎿, 풍력 295㎿로, 전체 발전출력 비중의 16.2%에 달하고 있다.

그런테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증가하면서 지난 2015년부터 재생에너지 공급이 과잉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과도할 경우 전력계통 안전화를 위해 출력을 제한하게 된다. 발전기가 멈추는 셈이다.

제주지역 출력제어는 2015년 처음으로 3회 발생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지난해에는 77회, 1만9449㎿h에 달했다. 제어량은 전체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3.24%에 이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부와 제주도는 우선 필수운전 발전기 최소화, 계통안정화용 ESS(에너지저장시스템) 설치, HVDC(초고압직류송전, 해저연계선) 역송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 수용능력을 증대시켜 나가기로 했다.

또한 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활용해 수소로 전환하는 P2G(Power to Gas) 기술, 열로 전환하는 P2H(Power to Heat) 기술, 전기차를 ESS로 활용하는 V2G(Vehicle to Grid) 기술 등을 제주도에 우선 적용할 계획이다.

이호현 에너지혁신정책관은 “전력은 상시적으로 수급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전력수요에 맞춰 발전기를 제어하는 것은 재생에너지뿐만 아니라 모든 발전기에 적용되는 공통된 사항이다. 해외 재생에너지 선진국에서도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4~5%가량 출력제어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단기적인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최소화 방안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보상원칙 및 세부방안, 관련 시장제도 개선 등을 통해 비용 효율적인 출력제어 방안도 검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