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지 전자경매 순항, 물량 확대에 달렸다
산지 전자경매 순항, 물량 확대에 달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가 전국 처음으로 도입한 산지 전자경매 제도가 농산물 유통구조 대안으로 떠오른 지 6년째다. 하지만 이 시책의 순항을 위해선 거래물량 확대가 절실한 데도 한계에 직면해 아쉬움을 주고 있다. 그간의 거래 물량을 보면 2016년 259t에 불과하던 것이 2017년 1234t, 2018년 2049t, 2019년 3659t, 2020년 4493t으로 증가했다. 일정 부분 선전하는 게 사실이다.

그런 효과로 품목별 평균가격이 도매시장 대비 높게 형성됐다. 10㎏들이 노지감귤은 1만8076원으로 도매시장에 비해 13%(2526원) 오른 걸 비롯해 당근(20㎏) 11%, 양배추(8㎏) 26% 각각 상승했다. 그에 따른 농가 수취가격도 도매시장보다 노지감귤 40%, 당근 24%, 양배추 120% 등 크게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농산물 경매 품목이 확대되며 지난해 농가들은 68억원의 판매 실적을 올리기도 했다.

문제는 산지 전자경매로 처리되는 농산물 물량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전국 하나로마트와 소비지 마트, 중도매인 등 거래처가 늘어야 하는데 이게 여의치 않다. 2016년도 57곳에서 2017년 148곳으로 증가한 뒤 지금도 140곳 안팎에 머무는 실정이다. 틈새시장을 노려야 하는데 어려움이 많을 것이다. 그래도 이런 수준으로는 우리 농가가 가격 결정권을 행사하기엔 갈 길이 너무 멀다.

산지 전자경매는 2016년 11월 노지감귤을 시작으로 감귤·채소류로 늘리다가 2019년엔 도내 전 농산물로 확대했다. 유통기간이 단축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게 큰 이점이다. 생산자는 안정적인 가격대를 보장받을 수 있고, 소비자 입장에선 신선한 농산물을 만날 수 있다. 잘만 하면 농산물의 유통에 대변혁을 이룰 수 있다.

물론 전자경매를 통해 제주산 농산물이 단숨에 유통된다거나 가격이 갑절 오르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그래도 수 년간의 운영 노하우를 제주형 유통대안으로 삼을 수 있느냐에 주목해야 한다. 무엇보다 거래물량 확대가 답이다. 그러려면 도내 출하조직 및 도외 거래처 확충이 수순이다. 당국은 여러 과제를 하나씩 풀어내 제주 1차 산업의 유통혁신을 이뤄내길 바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