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띠 이야기
토끼띠 이야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2011년은 토끼해인 신묘년(辛卯年).
토끼는 십이지 중 네 번째이며 방향은 정동(正東), 달로는 음력 2월을 지키는 방위신이자 시간신이다. 표기 한자는 띠동물일 때는 묘(卯)지만, 실제 토끼를 지칭할 때는 토(兎)를 흔히 쓴다.

 

토끼는 예부터 다산(多産)과 장생불사(長生不死)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또 귀가 커서 남의 말을 잘 들을 줄 아는 인품을 가진 영물로 통했다.

 

한자문화권에서는 달에 선약(仙藥)을 찧는 토끼가 있어 달 표면의 거무스레한 문양을 이루는 것으로 생각했다. 고구려 고분에서 약을 찧는 옥토끼 벽화를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계수나무와 두꺼비가 토끼와 함께 어우러져 달의 상징을 이루고 있다. 이는 이후 다양한 민화에서 떡방아를 찧는 옥토끼로 변화했는데 여기서는 토끼 두마리가 함께 방아를 찧는 모습으로 흔히 등장해 부부 사이의 금슬을 상징한다.

 

음력 정월 첫 토끼날(卯日)인 상묘일(上卯日)은 장수를 비는 날이기도 하다.

 

이날 새로 뽑은 실을 ‘톳실’ 또는 ‘명실’이라고 하는데, 이 실을 주머니 끝에 차고 다니면 수명이 길어지고 재앙을 물리친다고 했다.

 

상묘일은 특히 모충일(毛蟲日) 또는 유모(有毛日)의 하나로, 설날부터 닫고 있던 상점들이 날을 잡아 문을 열기도 했다. 털의 많음에서 상업의 번창을 바라는 의미를 담은 것이다.

 

토끼는 달의 정령이기도 했다. 달 속 계수나무 밑에서 옥토끼가 절구에 불사약을 찧고 있다는 신화는 그 연원이 깊어, 중국에서는 진한(秦漢)시대 이전에도 보인다. 특히 한대(漢代)에 접어들어서는 서쪽을 관장하는 여신인 서왕모(西王母) 신앙이 열풍을 일으키면서 각종 고고미술품에 단골 소재로 등장했다.

 

음양설에 의하면 달은 해에 견주어 음(陰)이다. 이로 인해 달이 활동 무대인 토끼 또한 음의 속성을 지닌다. 그래서인지 토끼는 생장과 번창과 풍요의 상징이기도 했다.

 

1년에 4∼6회 임신하고 한 번에 많으면 스무 마리까지 새끼를 낳는 토끼에서 다산(多産)과 다복(多福) 꿈꿨던 것이다.

 

토끼는 지혜의 화신이기도 하다.

 

백제의 침략으로 조국 신라가 누란의 위기에 처하자 도움을 청하기 위해 혈혈단신 고구려에 갔다가 죽음의 위기에 처한 김춘추를 구원한 것이 바로 토끼 간 이야기였다.

 

구토설화(龜說話兎)에서 거북의 감언이설에 속아 용왕 앞으로 끌려간 토끼가 간을 내 놓으라는 협박에 “육지에 간을 두고 왔다”는 말로 위기를 탈출했듯이 김춘추 또한 “신라가 빼앗아간 땅을 내놓지 않으면 돌려보내지 않겠다”는 연개소문의 위협에 기지를 발휘, “신라로 돌아가 왕을 설득해 땅을 돌려주겠다”고 말해 위기를 모면한다.

 

그래서인지 토끼 해에 태어난 인물에는 지혜로운 사람들이 많았다.

 

신라의 김유신을 비롯해 삼국사기를 지은 김부식, 김시습, 지석영, 한용운, 안중근 등이 모두 토끼띠다.
토끼 해에는 경사도 많았다.

 

고구려 태조 25년(서기 77년)에는 부여국 사신이 뿔 세개 달린 흰사슴과 긴꼬리 달린 토끼를 바쳤는데 이들이 상서로운 짐승이라 하여 일대 사면령을 내렸다는 기록이 있다.

 

1087년에는 우리 민족 최고의 문화유산인 팔만대장경이 완성됐다. 역시 토끼 해인 1867년에는 경복궁 근정전과 경회루가 완공돼 조선 왕실의 위엄을 삼천리 강산에 떨치기도 했다.

 

하지만 토끼에 대한 이미지가 좋은 것만은 아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상묘일에는 “남의 식구를 집에 들이지 않고 나무로 만든 그릇도 들이지 않는다. 특히 여자가 남의 집에 먼저 들어오는 것을 꺼린다”고 했는데, 이런 풍습의 여파인지 지금도 경기 일부 지방에서는 토끼는 방정맞은 경망한 짐승이라 해서 이날은 이른 아침은 물론 해가 뜬 뒤에도 여자는 바깥출입을 엄금하기도 한다.

 

토끼가 여타 띠동물과 비교해 우리와 가장 친숙한 동물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영리하고 지혜로운 반면 유약하고 경박한 측면도 있다.
<김문기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