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쳐나는 쓰레기 처리 한계...혈세 수백억 들여 도외 반출 '되풀이'
넘쳐나는 쓰레기 처리 한계...혈세 수백억 들여 도외 반출 '되풀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제주공약 6회】 쓰레기 처리 걱정 없는 제주 실현
1960년부터 온 섬을 돌아가며 29곳의 매립장을 조성, 쓰레기 매립
해양쓰레기, 음식물찌꺼기, 하수침전물찌꺼기는 처리 못하고 다른지방 반출
道 2028년까지 광역 폐기물 소각시설 추가 설립...서귀포시 3개 마을 신청
2019년 12월부터 가동 중인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소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2019년 12월부터 가동 중인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소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제주 8대 공약에 ‘쓰레기 처리 걱정 없는 제주’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세부 내용을 보면 ▲안정적 하수 처리능력 지원 ▲해양쓰레기 종합처리장 신축 ▲파동 분해 방식의 친환경 폐기물 처리 ▲폐플라스틱 활용 유류 생산시설 유치 등이다.

파동 분해란 전자레인지처럼 ‘세라믹 파동’으로 폐비닐과 플라스틱의 탄소 고리를 분해하는 신기술로, 땅에 묻지 않아도 되며 소각에 따른 다이옥신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플라스틱을 분해·정제하면 발전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경질유를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관련, 제주특별자치도는 2030년까지 쓰레기 직매립 제로화, 폐플라스틱 발생량 30% 감축, 재활용률 90% 달성을 목표 ‘2030 쓰레기 걱정 없는 제주’를 미래비전으로 제시했다. 폐기물 관리·처리 중심의 정책을 자원순환으로 전환한 것이다.

제주도는 1960년대부터 온 섬을 돌아가며 29곳의 매립장을 조성, 쓰레기를 매립했다. 다이옥신 저감기술을 갖춘 최신식 소각장을 확충하지 못하면서 넘쳐나는 쓰레기를 땅 속에 매립했다.

무엇보다 제주는 섬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쓰레기 매립·소각은 한계 달했고, 다른 지방으로 반출하는 등 처리에 심각한 문제를 겪고 있다.

이에 제주도는 2058억원을 들여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에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를 건립, 2019년 12월부터 운영 중이다. 하루 500t을 소각할 수 있는 광역소각장을 갖췄지만, 하루 평균 424t(85%)을 소각하면서 향후 처리난이 우려되고 있다.

여기에 해안에는 한 해 2만t이 넘는 해양쓰레기가 밀려들면서 다른 지방으로 반출·처리하는 데 연간 100억원 이상을 지출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를 탈수·건조하면 나오는 비닐·찌꺼기 등 각종 협잡물도 하루 27t이 배출되면서 연간 40억원을 들여 도외로 반출하고 있다.

도내에서 발생한 하수침전물 찌꺼기 중 24%는 도외로 반출되며, 연간 처리비용은 30억원에 달한다.

이 외에 봉개소각장(북부광역소각장)에 쌓인 압축쓰레기 2만7000t과 폐목재 1만t을 소각·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제주도는 도외로 반출하는 해양쓰레기와 하수침전물 찌꺼기 등을 하루 380t 처리할 수 있는 광역폐기물 소각시설(부지면적 2만7000㎡)을 2028년까지 추가로 조성하기로 했다.

최근 입지시설 공모 마감 결과, 서귀포시지역 3개 마을이 신청을 했다.

선정된 마을에는 260억원의 마을 발전기금을 지원해 마을회관·복지회관·목욕탕·태양광시설 등을 제공한다. 또 매년 폐기물 반입수수료의 10%(3억~5억원)는 주민 복리 증진과 장학 사업에 지원된다.

과거 혐오시설이었던 소각시설을 3개의 마을에서 유치하려고 경쟁을 하는 것은 낙후된 마을 발전을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가 제공되고, 이미 운영 중인 시설을 방문한 결과, 환경과 주민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별로 없다는 것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내 광역소각장의 경우 최신 설비로 신축돼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면서 굴뚝에서는 대부분 수증기만 나오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도민들이 청정 자연과 공존하는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쓰레기 걱정 없는 제주’를 실현하기 위해 안정적인 폐기물 처리와 함께 자원순환 목표를 이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제주시 봉개동 재활용품 선별장에 쌓여 있는 플리스틱류 쓰레기.
제주시 봉개동 재활용품 선별장에 쌓여 있는 플리스틱류 쓰레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