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 소각 시설, 여러 난제 극복하길
광역 소각 시설, 여러 난제 극복하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도가 올해 초 신규 광역폐기물 소각시설 입지 후보지를 공모한 결과 서귀포시 지역의 상예2동과 중문동, 안덕면 상천리 등이 참여했다. “내 뒷마당은 안 된다”라는 이른바 님비(NIMBY) 현상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이들 마을이 대승적으로 참여한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이었다. 현안 해결의 청신호이기에 다행스럽게 여겨졌다.

신규 광역 소각 시설은 1일 380t 처리 규모로, 2024년에 실시설계를 거쳐 2025년에 착공해 2028년에 완공할 예정이다. 사업 부지로 선정된 마을에는 주민 편의시설 등에 260억원이 투자된다. 여기에 매년 폐기물 반입 수수료의 10%가 마을기금으로 적립된다. 이런 조건에다 마을의 의지가 더해져 관련 사업이 순항할 것으로 판단됐다.

하지만 최종 후보지 선정을 위한 작업 단계부터 난제를 만난 것은 안타깝다. 우선은 입지 선정을 위한 타당성 조사가 늦어지고 있다. 지난 6월 말로 완료할 계획이었으나, 입지선정위원회가 마을이 내세운 부지에 대해 보완을 요구하면서 8월 말까지 2개월 연장됐다. 사업 부지 확정을 위한 중요한 단계인 만큼 신중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그래도 속도를 내야 한다.

해당 마을 내부와 주변 마을에서 시설 유치에 반발하고 있는 것도 걱정이다. 상예2동 우남동 일부 주민들은 소각시설 예정 부지 인근에 호텔과 식당, 골프장, 유원지 등 관광시설이 있는 것을 언급하면서 생계 위협을 주장하고 있다. 상천리와 인접한 광평리 주민들은 “소각시설 예정 부지가 행정구역상으론 상천리이지만, 실제 영향을 받는 곳은 광평리”라며 반발하고 있다. 제주도는 이를 가볍게 접근해선 안 된다.

현재의 쓰레기 발생량 추이를 보면 신규 광역 소각 시설은 아무리 서둘러도 지나치지 않다. 특히 해양폐기물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해양수산부의 자료만 봐도 지난해 도내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2만1489t으로 집계됐다. 2018년과 비교해 무려 77%가 증가했다. 제주도는 이런 상황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 어떤 난제도 풀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고 소통을 강화하길 바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