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공항 수입, 지역에 제대로 환원해야
제주공항 수입, 지역에 제대로 환원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국제공항이 국내 대표적인 ‘흑자 공항’이라는 것은 대개가 아는 사실이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 산하 국가공기업인 한국공항공사가 제주공항 운영으로 막대한 이익을 본다는 사실은 새삼스럽지 않다. 하지만 경제 전반이 불황인 상황에서의 ‘호황’은 도민사회의 이목을 끈다.

본지가 한국공항공사 홈페이지에 공개된 공항별 임대료 현황을 자체 분석한 결과 제주공항은 8월 현재 상업용 시설 61곳을 임대로 주고 1136억원을 벌어들였다. 이는 지난해 5월의 840억원(58곳)보다 35.2% 증가한 것이다. 이렇게 수입이 급증한 것은 ㎡당 임대료를 인상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대해선 공사 측이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고 있어 유감이다.

이처럼 공항 임대료 수입이 늘면서 제주공항의 전체 매출액과 영업이익도 크게 신장했다. 매출액은 2020년 1634억원에서 2021년 1972억원으로 20.7% 늘었다. 이와 함께 영업이익은 177억원에서 512억원으로 무려 189%나 급증했다. 이를 놓고 보면 공사는 제주공항 운영을 통해 인건비와 사무실 관리비 등을 빼고도 큰 이익을 남긴 셈이다.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따로 없다.

그런데도 제주공항의 이 같은 수익이 지역사회에 제대로 돌아가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일례로 공항에 착륙하는 항공사로부터 일정 금액을 징수한 ‘착륙료’를 갖고 소음 피해 주민에게 지원하는 ‘소음피해 지원금’의 경우 다른 공항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공항별 착륙료 수익 대비 주민지원사업 등에 투입된 자금 비율(2015~2019년)을 보면 제주공항은 60%에 그쳤다. 울산공항(218%), 여수공항(162%), 김포공항(139%)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제주공항 착륙료의 상당 부분이 다른 지역 소음피해 지원으로 흘러가고 있는 것은 선뜻 이해할 수 없다. 지금으로선 제주공항 소음 피해 지원도 충분하지 않다.

음수사원(飮水思源)이란 말이 있다. 물을 마실 때는 그 근원을 생각하라고 했다. 제주공항과 소음 피해 주민들의 희생으로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 있다면 지역사회에 제대로 환원해야 한다. 제주 정치권도 정부와 공사 측에 이를 촉구해야 할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