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 침식, 진행형인데 대책은 안 보인다
해안 침식, 진행형인데 대책은 안 보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청정한 쪽빛 바다, 수려한 해변 경관, 드넓은 모래사장. 제주지역 곳곳의 해안을 상징하는 표현들이다. 하지만 그런 해안들이 침식 작용으로 위기를 맞고 있는 게 또 확인이 됐다. 해양수산부 모니터링 결과 도내 주요 해안 14곳 가운데 침식 등급이 심각 단계인 D등급이 1곳, 우려 단계인 C등급은 4곳으로 나타났다. 그 많던 모래가 유실되며 심한 곳은 백사장이 자갈밭으로 둔갑한다니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해안 침식의 등급은 통상 A(양호), B(보통), C(우려), D(심각) 등 네 단계로 나뉜다. 제주지역 D등급은 서귀포시 황우치 해안이다. 또 서귀포시 신양·수마포구·하모 해안과 제주시 월정 해안이 침식 우려가 있는 C등급을 받았다. 특히 황우치 해안은 2018년 A등급에서 3년 만에 D등급으로 악화돼 침식 위험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상황이 이럴진대 해안 정비에 책정된 예산 집행은 지지부진해 연안 관리에 소홀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사고 있다. 실례로 2021년 제주지역 해안정비 예산이 8억원 편성됐지만 집행률이 39.4%(3억1500만원)에 머문다.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낮은 실적이다. 더구나 해안 침식 위험이 해가 갈수록 커지는 데도 마땅한 해법이 보이지 않는 건 더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물론 해안 침식 작용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해수면 상승이 해안 침식의 주원인으로 지목된다. 매립이나 방파제 등 인공구조물 설치에 따른 해류 변화도 빼놓을 수 없다. 그럼에도 대책이라는 게 해마다 트럭으로 모래를 쏟아붓거나 모래포집기를 설치하는 게 고작이다. 연례행사 수준이다.

해안 침식은 단순히 지형이 바뀌는 문제에 국한되는 게 아니며 지금도 진행 중이다. 주민의 삶의 터전을 파괴하기에 보다 심층적으로 다뤄져야 한다. 우선은 면밀한 원인 규명과 공학적인 대책을 강구해 현지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특히 국토 보전 차원에서 정부가 나서 근본 처방을 제시할 시점이 됐다. 연안을 실질 관리하는 지자체의 피해 예방 노력이 필요함은 두말할 나위 없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