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적자 공영관광지, 근본 해법 없을까
만성 적자 공영관광지, 근본 해법 없을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올 들어 제주를 찾은 관광객이 1200만명을 웃돌며 연말이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라고 한다. 하지만 도내 공영관광지의 3분의 2가량이 만성 적자에 허덕이며 풍요 속의 빈곤을 면치 못하고 있다. 사설관광지에 비해 경쟁력 면에서 한계가 있다 하더라도 요즘 같은 관광 호황기조차 흑자 체제로 바뀌지 못한다면 이는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도내 유료 공영관광지는 모두 33곳에 이른다. 이 가운데 66%인 22곳이 8월 말 기준 적자를 냈다. 대부분 유적지이거나 기념관, 미술·박물관에 속한다. 대표적인 게 돌문화공원이다. 올해만 7억6100만원의 적자를 봤다. 이어 민속자연사박물관 4억1800만원, 김만덕기념관 3억9300만원, 세계자연유산센터 3억6300만원, 국제평화센터 3억400만원 등의 손실을 기록했다. 공영관광지 총 적자 규모는 43억원에 달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11곳은 흑자를 냈다. 성산일출봉(12억8700만원)과 비자림(11억500만원), 만장굴(9억4800만원), 천지연폭포(8억400만원) 등은 흑자를 기록 중이다. 또 지난해까지 적자를 면치 못했던 교래휴양림(1억2700만원)과 서귀포휴양림(6100만원) 또한 수익을 올리고 있다. 경관 및 생태휴양형 관광지라는 공통점을 보인다.

사실 공영관광지의 적자 문제는 어제오늘의 얘기는 아니다. 공공시설물 관리와 맞물려 오래전부터 지속돼온 도정 현안이다. 근데도 도 당국은 적자 해소를 위한 마땅한 처방책을 내놓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직영관광지의 공공성을 감안해도 지금처럼 좋은 여건에서 적자 타령이 나와선 곤란하다. 지방재정을 더욱 압박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공영관광지의 자구노력이 요구된다. 매년 적자에 시달리다 올해 흑자로 돌아선 휴양림 등의 사례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살아남기 위해 치열한 판촉전과 콘텐츠 개발 등을 끊임없이 시도하는 사설관광지의 경영 혁신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터다. 전반적인 평가를 거쳐 민간 위탁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돼야 한다. 이 모든 걸 제주도의회가 면밀히 살펴볼 때가 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