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상금 기부, 선한 영향력으로 작용하길
보상금 기부, 선한 영향력으로 작용하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 4·3 생존 희생자와 유족에게 지급된 4·3보상금을 제주4·3유족회에 기부하려는 손길이 이어지고 있다. 4·3의 아픔을 되풀이하지 않도록 미래 세대의 평화와 인권 교육을 위해 써달라며 하는 자발적 기부이기에 의미가 남다르고 가슴이 뭉클하다.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에 사는 4·3 생존 희생자 강순주옹(91)은 지난 18일 1000만원을 기부했다. 4·3 당시 자신의 목숨을 살려준 고(故) 문형순 성산포경찰서장의 의로운 뜻을 기릴 수 있도록 해달라며 쾌척한 것이다. 문 서장은 1950년 성산포지역에서 예비검속으로 구금된 221명을 총살하라는 군의 명령을 거부하고 이들을 풀어줬다. 당시 여기에 19세 나이의 강 옹도 있었다. 그는 문 서장이 “나라와 사회를 위해 일해달라”는 당부를 잊지 못해 6·25 한국전쟁 때 국군으로 참전하기도 했다.

4·3 희생자이며 독립유공자인 한백흥 지사(1897~1948)의 손자인 한하용씨(77)도 자신의 몫으로 받은 보상금 375만원을 기부했다. 1919년 조천만세운동을 주도했던 할아버지는 함덕리장으로 있던 1948년 11월 토벌대의 집단 학살을 만류하다 폭도로 몰려 희생됐다. 한하용씨는 “많은 유족이 고통 속에서 살아왔지만, 자라나는 세대는 평화로운 세상에서 살기를 바란다”고 했다.

사실 올해부터 최대 9000만원까지의 4·3보상금을 지급한다는 발표가 있자 도민 사회 일각에선 보상금을 둘러싼 유족 간의 불협화음이 우려된다는 말들이 적지 않았다. 하지만 보상금이 민법상 상속권자의 상속 지분에 따라 직계가족 등의 개별 계좌로 입금되면서 한낱 기우에 불과했다. 이를 도민 사회는 다행으로 여기고 있다.

보상금 기부가 선한 영향력으로 작용하길 바란다. 마침 4·3유족회는 유족들의 기부 의사를 전달해옴에 따라 기부금을 관리할 재단을 만들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중지를 모아 착실하게 진행했으면 한다. 유족들의 고통과 눈물이 담긴 보상금인 만큼 요긴하게 사용할 방안을 구상해야 한다. 정부도 2026년까지 보상금 지급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깔끔하게 일 처리를 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