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와 식량
인구와 식량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함성중 논설위원

세계 인구가 1억명을 넘은 시기는 기원전 500년 무렵이다. 미국 인구조사국 추계 결과다. 로마제국이 융성하던 서기 2년에는 2억명으로 불어났다. 15세기엔 전염병이 창궐하고, 전쟁이 빈발하면서 증가세가 꺾였다가 1800년쯤 10억명에 달했다.

그로부터 130년 뒤인 1930년 20억명, 1999년 60억명을 넘긴 후 2011년 인구 70억명을 찍었다. 의학 발달, 균형 잡힌 영양 섭취 등으로 영유아 사망이 급감하고 평균 수명이 길어진 덕이다.

지난 15일 세계 인구가 80억명을 돌파했다. 유엔은 기대수명과 가임연령 증가로 세계 인구가 2037년 90억명, 2080년 104억명으로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했다. 식량과 물 부족, 자원 고갈로 지구촌 재앙을 경고하는 이들이 적잖다.

▲우리나라도 한때 인구가 급증했다. 1955∼1963년에 태어난 인구집단을 베이비붐 세대라고 부른다. 인구 2100만명인 나라에서 800여 만명의 신생아가 출생했다. ‘58년 개띠’가 베이비붐 세대의 정점이었다.

지금은 세계 최저의 저출산 국가다. 엄청난 예산을 쏟아부어도 출산율은 추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고작 0.81명이다. 인구 변화는 체감하기가 쉽지 않은 데다 이에 대응하려면 사회구조를 개혁해야 하는데 그 효과는 상당 기간이 지나서야 나타난다. 그러다 보니 인구정책은 늘 타이밍을 놓치곤 한다.

우리 정부는 인구정책에 엄청난 예산을 쏟아붓고도 낙제점을 피하지 못했다. 한마디로 저출산 대책 방향이 잘못됐다는 이야기다. 국가 존망이 걸린 문제이고 보면 한층 현실적인 해법을 찾아야 할 때다.

▲인구 급증이 재앙을 가져올 것이란 우려도 계속 나온다. 근자에 불거지는 식량 문제도 그중 하나다. 현재 80억명인 세계 인구가 10여 년 뒤 90억명으로 껑충 뛴다니 농산물 대란이 더 자주 일어날 수밖에 없다.

현실이 그렇다.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식량 수출 통제를 선언한 나라만 30개국이 넘는다. 세계 7위권 곡물 수입국인 한국으로선 남의 일이 아니다. 식량자급률이 45%에 불과해 OECD 회원국 중 최저 수준이다.

새로 출범한 윤석열 정부가 ‘식량주권’ 확보를 국정 과제로 제시했지만 단기 계획으론 어림도 없다. 해외 경작지 발굴 등 식량 안보를 위한 다각도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 식량이 무기가 돼 가는 세상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