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외항 2단계 개발 7년 만에 본격…해상 4만1670㎡ 매립
제주외항 2단계 개발 7년 만에 본격…해상 4만1670㎡ 매립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도, 18일 환경영향평가서 초안 공개
제주항 선석 부족 문제 해소 등 기대
환경 피해 불가피…“모니터링 지속”

수년째 표류 중인 제주외항 2단계 개발 사업이 본격화한다.

사업지구 계획 평면도.
사업지구 계획 평면도.

제주특별자치도는 18일 홈페이지에 ‘제주외항 2단계 개발 사업 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공고했다.

이 사업은 내년부터 오는 2027년까지 사업비 725억원을 들여 해상 매립을 통해 4만1670㎡ 규모의 부지를 만들고, 이곳에 외곽시설과 계류시설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매립된 부지에는 2만7410㎡ 규모의 잡화부두와 1만4260㎡ 규모의 친수시설이 설치되고, 외곽시설에는 446m 길이의 호안(유수에 의한 침식을 막는 시설) 조성된다.

또 210m 길이의 잡화부두가 조성되고, 해양공원과 배후지 올레길을 연결하는 길이 140m·폭 2.5m의 인도교 설치도 계획됐다. 

제주도는 이 사업을 통해 제주항 선석 대형화에 따른 선석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원활한 화물 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제주외항 선석 부족으로 인한 체선·체화 현상도 완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제주도는 사업 진행 시 사업지구 일대 수조류의 일시적인 서식지 교란, 화북천 하류와 접하는 해안지역 토사 영향, 부유물질 발생, 온실가스 배출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라 조류 서식 간섭 최소화를 위한 공사 강도 조절, 토사 유출 방지를 위한 오탁방지막 설치, 저탄소 자재 사용 등을 저감 방안으로 제시했다. 

이와 함께 제주도는 7개 지점을 대상으로 사후환경영향평가 조사를 시행해 플랑크톤, 조하대 저서생물, 어란 및 자치어 등을 조사하고, 대기질 현황과 저감 방안 이행 여부 등을 분기별로 점검할 방침이다.

제주도는 일부 항목에서는 불가피한 환경 영향에 대해 저감할 수 있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는 만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 사업 계획과 예측 조건 등이 달라질 경우 환경영향을 추가 검토해 여건에 맞는 저감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외항 2단계 사업은 2016년부터 추진됐지만, 크루즈 입항이 줄어들면서 진척을 보지 못해 왔다. 

제주도는 애초 총사업비 1965억원을 투입해 2단계 사업으로 잡화부두 210m, 철재부두 210m, 해경부두 997m, 교량 220m를 구축할 계획이었지만, 2019년 정부의 타당성 재조사에서 크루즈 선박이 연간 260척 이상 입항할 경우 사업을 진행하도록 하는 조건부가 제시되면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제주외항 2단계 사업 계획을 변경해 잡화부두 1선석을 우선 추진하기로 하고 정부와 사업 규모, 총사업비를 조정했다.

제주외항 2단계 사업 일부가 정부의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했지만, 제주항 포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는 추가 사업 추진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