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전력 포화'...신규 풍력.태양광 발전 연계망 '바닥'
제주 '전력 포화'...신규 풍력.태양광 발전 연계망 '바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3연계선’ 준공될 때까지 제주지역 신규 신재생 발전 개시 금지
한무경 의원 "출력제어로 제주와 호남 간 ‘갈등의 씨앗’될 우려도"
제주와 전남을 연결하는 1~3개의 해저케이블(고압직류 송전).
제주와 전남을 연결하는 1~3개의 해저케이블(고압직류 송전).

제주도가 전력 포화에 직면했지만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 발전 허가는 계속 이어지면서 송·배전 계통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송·배전망 확충과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 전기차 충전 등 새로운 수요 발굴이 요구되고 있다.

24일 한무경 국회의원이 한국전력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제주지역 풍력·태양광 발전 출력제어(가동 중단)는 2020년 77건, 2021년 65건, 지난해 132건, 올해 8월 현재 141건으로 매년 늘고 있다.

전력의 과잉 생산에 따른 대규모 정전을 막기 위해 출력제어가 이뤄지고 있다.

문제는 제주지역 전력망은 새로운 신재생 발전을 받아들이기 어려울 정도로 포화했다.

한전의 계통 영향 검토 결과를 보면 곧바로 전력망에 연계 가능한 제주지역 신규 발전사업 건수는 지난해부터 ‘0’에 머물렀다.

한전은 제주~완도 해저 89㎞를 잇는 송전망인 ‘제3연계선’이 연말에 준공될 때까지 제주지역 신규 신재생 발전 개시를 금지하고 있다. 잉여 전력을 육지로 내보내지 않으면 출력제어 횟수가 계속 늘어나게 됐다.

그런데 한전이 송·배전망 계통 보강 후 연계 가능을 조건부로 붙인 제주지역 신재생 발전 설비는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530건에 이른다. 이 가운데 374건(70%)은 발전사업 허가를 받았다.

올해 제주지역 신재생 발전 설비 용량은 715㎿(메가와트)로 2017년 393㎿ 대비 80% 넘게 증가했다.

가뜩이나 전력이 넘치는 제주도에 추가 전력 부담이 커진 셈이다.

신재생 발전 전력의 공급 과잉으로 출력 제어가 현실화된 전라도지역도 부담이 되고 있다. 전라도 지역의 태양광 출력제어는 2021년 3회, 올해 8월 2회다.

한무경 의원은 “출력제어가 더욱 잦아지면 향후 전력을 보내려는 제주와 받지 않으려는 호남 간 ‘갈등의 씨앗’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제주의 전력 포화 문제는 몇 년 뒤에 육지에서 똑같이 벌어질 수 있어서 출력제어가 예상되는 지역에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