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년 제주 생활인구 100만 도시기본계획 나왔다
2040년 제주 생활인구 100만 도시기본계획 나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 5개 권역 생활권으로 구분…고도 완화도 추진

제주특별자치도가 오는 2040년 생활인구 100만명을 목표로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해 주목된다.

제주시 전경.
제주시 전경.

제주도는 2020년 5월 용역에 착수해 도민참여단 운영, 공청회, 도의회 의견 청취, 국토교통부 협의와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2040년 도시기본계획을 마련했다고 2일 밝혔다.

20년 단위 법정계획인 도시기본계획은 국토종합계획 및 제3차 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등 상위계획과 여건 변화 등을 반영한 것으로, 제주 미래와 장기적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공간계획이다.

주요 내용을 보면 제주도는 ‘사람과 자연, 현재와 미래가 공유하는 활력도시, 제주’를 미래비전으로 삼아 도민의 도시, 청정 도시, 지속가능한 도시, 활력도시를 목표로 설정하고, 9개 전략을 마련했다.

제주도는 2040년 장래인구를 100만명으로 설정하고 이번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상주인구 80만명과 유동인구 20만명을 포함하는 생활인구 개념을 적용해 설정했다.

쓰레기·상하수도 등 기반시설계획은 제주가 가장 붐빌 때의 유동인구를 110만명(상주인구 80만명, 유동인구 30만명)으로 추산해 적용했다.

또 제주를 ‘제주시 도심생활권(동부)’, ‘제주시 도심생활권(서부)’, ‘서귀포 도심생활권’, ‘동부 생활권’, ‘서부 생활권’ 등 5개 권역 생활권으로 나눴다. 제주도는 개발 사업 균형 배분을 통해 인구가 집중된 제주시 동·서부 도심생활권 인구를 서귀포와 동·서부 생활권으로 분산해 56대 44의 인구 비율을 49대 51까지 맞춘다는 계획이다.

특히 제주도는 이번 도시기본계획에서 시가화예정용지를 기존 42.10㎢에서 36.17㎢로 줄이고, 보전용지를 1899.10㎢에서 1900.27㎢로 늘려 종전 2025년 도시기본계획과 비교해 보전에 더욱 중점을 두고 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도심은 지구단위계획을 통한 계획적인 밀도 관리를 유도해 주거지역은 압축적 토지 이용, 상업지역은 용도 복합화 및 밀도 다양화를 통한 도심 활성화 전략을 제시했고, 지역 중심은 집약적으로 토지를 이용할 수 있는 콤팩트시티를 관리 방안으로 제시했다.

콤팩트시티는 도시의 주요 기능을 한 곳에 조성하는 도시계획 기법을 말한다. 

제주도는 중산간지역과 비시가화구역은 보전·이용·중간 영역으로 구분해 영역별 보전을 위한 관리 체계를 구축했다. 해발고도 300m 이상은 보전영역, 200m 이상 300m 미만은 중간영역, 해안일주도로 한라산 방면 1.2㎞~해발고도 200m 미만은 이용영역으로 설정해 관리한다. 

제주도 관계자는 “도시기본계획에서 제시한 고밀 압축 개발을 통한 콤팩트시티 조성을 위해 내년에는 제주의 지역 특성과 기반시설을 고려한 고도 관리 방안 수립 용역을 시행할 계획”이라며 “건축물 높이에 대한 규제가 개선되면 재건축 등을 통해 도심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도민 2023-11-02 19:39:29
제주도 발전을 진심으로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