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龍), 이로움을 주는 상상의 동물
용(龍), 이로움을 주는 상상의 동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전은자 이중섭미술관 학예연구사/논설위원

2024년 갑진년(甲辰年)은 용의 해이다. 용이 음양오행에 있어서 청색에 해당하는 동쪽을 지키기 때문에 청룡이 된 것이다. 용은 12 동물 가운데 유일하게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상상의 동물이다. 


현실에서 용은 물을 상징한다. 용은 물과 관계가 깊은 구름, 바다, 강에 사는 동물이지만 현실에서 그런 모습의 동물은 없다. 그러나 그 누구도 용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만큼 용은 우리 문화에 매우 가깝게 존재한다. 


그렇다면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상상의 동물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용은 바로 농경 사회의 재해였던 가뭄과 연관이 있고, 또 바다를 끼고 사는 사람들의 필요성에 의해서 소망의 상징으로 탄생한 것이다. 가뭄에는 절실하게 비가 필요했고, 바다 생업에서는 물속과 파도의 두려움을 극복해야 했다. 필요하거나 두려운 대상은 대체로 신으로 나타난다. 용의 모습은 하늘로 올라가는 회오리바람이나 비를 뿌리려고 꿈틀대는 구름의 자연 현상에서 비롯된 것이다.


회화에 나타나는 용의 모습은 매우 기괴하다. 어쩌면 저렇게 생길 수가 있을까 싶을 정도로 괴상한 합성체이다. 전해오는 용의 형상을 보면 사슴뿔에 낙타 머리, 눈은 귀신같고, 뱀의 목에 이무기 배를 가졌다. 비늘은 물고기, 발톱은 매, 호랑이 발바닥에다 소와 같은 귀를 가지고 있다. 용은 여러 동물의 대표적인 특징들만 추려서 창조된 동물인 셈이다.


이렇듯 상상의 동물인 용은 도교의 수호신으로 호남리․덕화리․강서중묘 등의 고구려 고분벽화의 사신(四神)으로서 동쪽 방위를 지키는 동물로 그려져 음양오행설이라는 동아시아 우주론의 대표적인 모델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용 그림은 방위의 수호신이지만, 이후에는 비를 내리게 하는 수신(水神)이나 바다를 관장하는 해신(海神)인 용왕이라는 인격신으로 나타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진평왕 50년에 용의 그림을 그려놓고 비를 비는 화룡제(畵龍祭)를 지냈고, 용왕에게 제사를 지내는 관청을 두어 사해제(四海祭), 사독제(四瀆祭)라는 용신제를 지냈다.

 
불교에서 용왕은 여덟 신중(八部神衆)의 하나로 바다에 살면서 불법을 수호하는 신이다. 용왕은 동진 보살 옆에 호계 대신과 함께 서 있거나 위태천 옆에 배치되기도 한다. 


조선 후기에 그려진 무신도 <사해용왕>의 모습은 불화의 영향이 역력한데 관(冠)을 쓰고 붉은색 도포에 청색 단령을 두르고 손에는 칼을 들고 있다. <용왕> 그림은 거친 바다에서 청룡을 타고 두 손으로 불꽃을 들고 있다. <용신> 그림은 두 마리 용이 어우러져 서로 바라보는 모습이다. 또 용왕의 아내 <용궁부인> 그림은 청룡 위에서 지상을 가리키거나 연꽃을 들고 구름무늬 의자에 앉아서 청룡과 적룡의 상징으로 좌우에 동녀를 거느린다. 


우리나라에서 용왕은 매우 친근한 존재다. 가뭄이 많은 해일수록 농민들에게는 용왕이 더없이 소중한 존재가 된다. 비를 기다리다가 지쳐 마지막으로 찾는 직능의 신으로서 용왕은 염원의 해결사가 된다. 어로인도 마찬가지다. 바다의 위험에서 벗어나게 하고 생계를 위해서도 용왕은 기꺼이 든든한 수호자로서 풍어의 소원을 들어준다. 


인간의 상상력이 우리 문명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그것이 삶에 이로우면서도 즐거움을 주기 때문이다. 인간의 창의성이야말로 미래를 열어갈 에너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