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어초 사업이 ‘기가 막혀’
인공어초 사업이 ‘기가 막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연안에 설치되고 있는 인공어초 시설사업이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을어장에 투하된 인공어초 4개중 1개꼴로 모래에 완전 묻히거나 선박의 닻 또는 폐그물 등에 의해 파손된 채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

지난해 말부터 제주연안을 4개 권역으로 나눠 인공어초 실태조사를 벌이고 있는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가 성산읍~표선면~남원읍~서귀포해역에 대한 중간조사 결과다.

이는 결국 마을어장의 자원증식과 어민소득 증대를 위한 사업이 실효(實效)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물론 1971년부터 시작된 인공어초사업이 30여년이 지나면서 조류 등의 영향으로 일부가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문제는 그 정도가 너무 심하다는 데 있다.

지금까지 1천억원이 넘게 투자됐고, 앞으로도 1천억원 가까운 천문학적인 예산이 들어가는 사업이 ‘돈 먹는 하마’로 전락해서야 될 말인가.

당초 적지(適地) 선정 및 사후관리 등을 어떻게 하였기에 이 같은 부실을 초래하고 방치했는지 해양수산부와 제주도 등 관계당국을 추궁하지 않을 수 없다.

인공어초를 바다에 던져만 놓고는 ‘나 몰라라’ 한 셈이다.

국민 혈세가 바다 속으로 줄줄 센 것이다.

기가 막힐 일이다.

그렇잖아도 제주도의회의 행정사무감사 등을 통해 특정업체 인공어초 독점공급 등 이 사업을 둘러싼 각종 특혜 의혹과 문제제기가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사실 이 사업은 어패류의 아파트로도 불리는 인공어초를 적지에 투하할 경우, 3년이 지나면 다른 어장에 비해 2.6배 어획증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런데 쓸모없는 구조물 사업으로 전락하고 있으니 보통 문제가 아닌 것이다.

이에 해양수산부 등이 경제적 효과 등 그동안 사업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당초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사후관리대책을 마련한다니 주목된다.

바다 속이라고 주먹구구식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일은 결단코 없어야 한다.

앞으로 이의 실천을 지켜볼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일보
제주일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