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못 받는 웰컴센터의 사례에서
‘환영’못 받는 웰컴센터의 사례에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시 연동 옛 농업기술원 부지에 들어선 제주웰컴센터가 이름 값을 못하고 있다. 관광객들로부터 ‘환영’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그 곳을 방문한 관광객이 2556명이라 한다. 하루 평균 7명에 그치는 인원이다. 올 들어선 이용객이 다소 늘어 하루 평균 15명 안팎이다.

그러나 이는 지난 2009년 설립 당시 유치 목표로 잡은 하루 평균 1300명과는 비교 자체가 곤란하다. 그나마 시설 대관은 전년보다 16% 증가했고, 3·4층은 제주관광공사와 제주관광협회 사무실이 들어서 있다.

이로 볼 때 제주웰컴센터는 제주관광의 중심센터라기 보다는 각종 회의나 행사장, 그리고 사무실 용도로 더 많이 활용되고 있는 셈이다. 사업비 144억원(국비 60억, 지방비 84억)을 투입해 연면적 5525㎡(지하 1층, 지상 4층)나 되는 꽤 규모 있는 공공시설이 당초 표방하는 목적과는 달리 ‘반쪽 구실’에 머물러 있으니 딱한 일이다.

이처럼 웰컴센터가 제 역활을 못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일단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제주공항에 종합관광안내소가 있는데 관광객들이 굳이 그곳을 찾을 이유가 없다는 얘기다. 그럼 점에서 웰컴센터의 운영 부실은 예견된 일이라고 봐야 한다. 수요자의 편의를 고려하지 않은 입지 결정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 할 것이다.

비단 웰컴센터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 주변을 둘러보면 ‘고비용 저효율’의 시설물이 한 둘이 아니다.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그 이유는 앞서 거론했듯 건립 후 가장 중요한 활용문제를 간과한 데서 비롯된다. 다시 말해 운영 방식 및 사업성에 대한 세밀한 분석은 뒷전인 채 일단 짓고 보자 식이다.

하지만 그로 인해 지불해야 할 대가가 만만찮다. 우선 건물 신축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그 후에도 적지 않은 유지·관리비가 소요된다. 결국은 도정의 살림살이를 압박하게 되고, 혈세 낭비의 요인이 된다.

웰컴센터의 운영 부실이 시사하는 바가 그것이다. 공공 시설물의 추진에 냉정한 진단이 필요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