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부는 농민을 위해 존재해야”
“농림부는 농민을 위해 존재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도가 재도입을 요청한 감귤유통명령제에 대해 농림부가 계속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니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도내 3만6000여 농가의 통합된 소리를 농림부가 외면하고 있는 것이다.

농림부는 과연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무엇보다 농림부는 케케묵은 사고의 틀부터 벗어 던져야 한다.

도의 요청이 농안법상 ‘현저한 수급 불안정’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올해 산 예상량이 52만~55만 톤으로 나타나, 농림부가 과잉생산의 기준으로 삼는 ‘60만 톤’에 미치지 못한다는 얘기다.

그러나 이는 겨울철 과일로 감귤이 주종이던 10여 년 전 1인당 소비량 12kg을 기준한 것으로, 최근엔 감귤 소비량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실제로 2003년 농림부 부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감귤소비의향을 조사한 결과, 1인당 소비량은 9.5kg으로 나타나 감귤의 적정 생산량을 45만 톤 내외로 분석했다.

결국 올해도 많게는 10만 톤이나 과잉 생산이라는 의미다.

‘현저한 수급불안’ 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이제는 수량이 아니라 품질의 시대라는 점이다.

그런데 올해는 여름철 가뭄 등으로 비상품 대과가 대량 생산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품질이 저하된 감귤이 대거 유통될 수밖에 없다는 말이다.

유통혼란이 초래되고, 소비자 불신과 가격하락이 불을 보듯 하다.

제주지역 경제에 엄청난 타격이 우려된다.

때문에 제주감귤산업이 일정한 경쟁력을 갖출 때까지 정부가 지원하는 것은 당연하다.

외국산 과일 개방시대에 품질위주의 생산과 유통만이 경쟁력의 핵심이다.

이에 지자체와 농가 스스로도 고군분투중임을 농림부도 알 것이다.

비상품을 차단해 고품질로 승부하고자 유통명령를 요청하는 분명한 이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림부가 발목을 잡고 있으니, 제주감귤산업에 대한 육성. 지원 의지가 있는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제주경실련은 성명을 발표, “농림부는 농민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면서 “만일 유통명령이 무산돼 지역경제가 추락한다면 모든 책임은 농림부에 있다”고 했다. 옳은 지적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일보
제주일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